사회 사회일반

연초 소·중폭 개각설 '솔솔'

내달말 단행 가능성

새해 첫날 국무회의 마치고…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일 청와대에서 2010년 경인년 첫 국무회의를 마친 뒤 정운찬 국무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기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연초 소폭 또는 중폭 개각을 단행할 것이라는 설이 정치권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조각 때 입각한 장ㆍ차관이 이미 2년 가까이 재임한데다 6ㆍ2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공직자들도 있어 인사 수요가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다 청와대 인사기획관 자리는 신설된 뒤 다섯 달째 공석 상태이며 업무성과에 따른 장ㆍ차관 인사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여권의 한 핵심관계자는 3일 "인사 수요가 있는 만큼 개각의 소지는 있으나 세종시 수정 문제 등 현안 때문에 1월에는 어려울 것 같고 오는 2월 말께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다른 여권의 한 관계자는 "연초에 개각이 있지 않겠느냐"면서 "개각 범위는 중폭쯤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한나라당 일각에서는 정치 일정상 집권 3년차에 접어드는 현시점에서 이 대통령의 중도개혁을 강화하고 국정을 일신하기 위해 연초 개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연초 개각이 필요하고 여러 채널을 통해 가능성을 듣고 있다"고 말했다. 연초 개각이 단행될 경우 지난해 9월3일 국무총리와 6개 부처 장관이 교체된 뒤 4∼5개월 만에 다시 내각의 얼굴이 일부 바뀌게 된다. 장관 중에서는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이만의 환경부 장관, 전재희 보건복지부 장관,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등이 교체 대상에 오를 수 있다고 관측됐다. 차관 중에는 정부 출범 이후 줄곧 자리를 지켜온 임채민 지식경제1, 이병욱 환경, 권도엽 국토해양1, 정종수 노동, 홍양호 통일부 차관 등이 인사 대상으로 거론된다. 또 차관 한 명과 청와대 모 비서관은 6ㆍ2 지방선거에서 자치단체장 출마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일부 청와대 선임 행정관 가운데 비서관 승진자가 나올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