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 환경설비시장 잡아라” 다국적 기업 선점경쟁 후끈

다국적 기업 중 환경사업에 적극 참여중국의 사스(급성호흡기증후군)가 조금씩 가라앉는 양상을 보이면서 세계 유수의 다국적 기업들이 중국 환경설비시장 선점을 위한 발걸음을 가속화하고 있다. 9일 한국무역협회 상하이(上海)지부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독일 지멘스, 일본 옴론(OMRON) 등 유명 다국적 의료설비 생산업체들이 중국 의료설비 시장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참여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다국적 기업들의 이 같은 움직임은 현재 중국 의료설비 시장 규모가 548억위엔(67억달러), 그 가운데 최첨단 기술설비만도 100억위엔에 달하고, 시장이 매년 14% 가까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사스를 겪으면서 중국 의약기업들이 생산능력을 높이고, 2004년 7월1일까지 GMP(우수의약품제조관리기준)인증 통과를 위해 대량의 선진 의료기술 및 설비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도 다국적 기업들을 유인하는 동인이 되고 있다. 폐수처리설비 등 수리시설건설 사업에도 프랑스 온데오(ONDEO) 등이 적극 나서고 있다. 중국은 2005년까지 인구 50만명 초과 도시의 폐수처리율을 60%까지 끌어올리기로 하고, 이를 위해 총 480억달러를 투자해 1만여개의 폐수처리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쓰레기처리 사업에는 프랑스의 비벤디 등이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2005년까지 도시 쓰레기 처리율을 전국 평균 50% 이상, 인구 50만명 이상 도시의 경우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세워 놓고 있다. 이에 따라 신형 압축식 쓰레기 운송차량, 쓰레기 분류설비 및 소각설비, 발효설비 등에 대한 수요가 매우 커 질 것으로 보인다. ???송창의 한국무역협회 상하이 지부장은 “중국이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테마를 `환경올림픽`으로 정해 환경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어 중국의 환경산업시장은 급속히 커질 것”이라며 “국내 기업들도 이를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01년 1,500억위엔에 불과했던 중국의 환경시장 규모는 2005년에 5,500억~6,000억위엔 정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고진갑특파원 go@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