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농축산물에 셀레늄 인위적으로 넣지 마세요"

일반적으로도 충분히 섭취해… 과다섭취하면 '독' 될 수 있어

쌀 등 농축산물을 재배, 생산하면서 일부 농가에서 몸에 좋을 것이라고 생각해 셀레늄 등 독성이 있는 위해 우려 화학물질을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어 식품당국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웰빙을 추구하는 식생활 변화추세에 맞춰 일부 농업인들이 기능성 식용 농축산물을 재배, 사육하는 과정에서 셀레늄과 게르마늄 등 다량 섭취하면 오히려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화학물질을 인위적으로 첨가하고 있다며 자제해줄 것을 당부하는 협조공문을 농림부에 보냈다고 27일 밝혔다. 실제로 최근까지도 유명백화점과 대형 할인점 등에서는 셀레늄을 함유한 쌀이 판매되었다. 또 셀레늄을 섞은 사료로 키운 젖소에서 생산된 우유와 닭고기, 돼지고기, 계란, 밀가루 등도 시중에 선보였다. 셀레늄은 무기질 영양소로 결핍되면 간장애, 근무력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독성이 있는 원소로, 우리나라의 경우 농산물과 임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에 다량 들어있어 현재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셀레늄 결핍으로 인한 문제는 없다는 게식약청의 판단이다. 식약청 위해관리팀 관계자는 "셀레늄을 과다 섭취하게 되면 심혈관계 이상이나 손톱.피부질환, 탈모, 보행장애, 마비, 구토, 설사 등의 독성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때문에 식약청은 셀레늄을 식품첨가물로도 허용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