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반도체·선박 쌍끌이에 4월 무역흑자 44억弗

원화절상 악재에도 3월보다 2.4배 늘어


원화 절상이라는 악재에도 불구하고 지난 4월 무역수지가 급증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수입규모가 늘어났지만 우리나라 주력상품인 선박과 반도체의 수출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2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4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5% 증가한 398억7,600만달러, 수입은 42.6% 늘어난 354억6,600만달러로 잠정 집계됐다. 이로써 4월 무역수지는 44억1,000만달러 흑자로 3월(18억1,000만달러)보다 2.4배 늘어났을 뿐 아니라 올해 1ㆍ4분기 전체 흑자액보다 11억달러 많았다. 이는 1ㆍ4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7.8% 성장한 것과 궤를 맞춰 경기상승이 본격화됐음을 보여준다. 무역수지가 이처럼 큰 폭의 흑자를 기록한 것은 우리나라의 주력품목인 선박과 반도체가 사상 처음으로 동시에 월간 수출액 40억달러를 넘어서면서 쌍끌이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선박 수출액은 해양 플랜트 분야의 호조에 힘입어 42억3,000만달러를 기록했으며 반도체 수출액은 세계시장의 휴대폰 수요 증가 등으로 41억9,000만달러를 달성했다. 가공품인 석유화학과 석유제품 수출액도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수출단가가 올라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35.2%, 72.8% 증가한 31억4,000만달러와 27억2,000만달러로 집계됐다. 다만 무선통신기기 분야에서는 스마트폰을 제외한 일반 휴대폰의 평균 판매가격이 하락하면서 수출이 다소 부진한 것으로 분석됐다. 수입액은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탓에 원유 65.6%, 석유제품 90.4%, 가스 89.3%, 석탄이 39.5% 증가하는 등 연료수입이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1월만 해도 6억달러 적자를 기록하며 다소 불안하게 출발했지만 글로벌 경기회복으로 수출입 모두 탄력을 받게 되면서 지난해 말에 예상했던 올해 200억달러 무역흑자 목표는 무난히 달성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