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빛 원형에 담아낸 존재의 생·멸

정현숙 '전과 후' 연작 박영덕 화랑서 대진대 미술학부 교수로 재직중인 정현숙의 열번째 개인전이 24일부터 10월 3일까지 서울 청담동 박영덕화랑에서 열린다.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금빛의 빛으로 존재의 생과 멸을 화면 속에 담아내는 작품을 선보인다. 미니멀 계열의 작품이면서도 서정성과 동양적 사상이 깊이 스며 있음을 알 수 있다. 출품작은 ‘전과 후(Before and After)’ 시리즈이다. 원래 들꽃을 그렸던 정씨는 1990년대 들어 원형의 번짐 효과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링거병에 묽은 아크릴릭 물감을 넣은 다음 이를 캔버스에 떨어뜨린 것. 천에 닿은 물감 방울은 자신을 원형으로 해체하며 팽창을 거듭해 은근한 자취를 화면에 남겼다. 작가가 근래에 매료된 원형 작업은 이를 좀더 발전시킨 것이다. 무명천 상태의 캔버스에 검은 색이나 진푸른 색의 물감을 칠한 다음 금빛 혹은 은빛의 아크릴 물감을 붓끝으로 낙하시킨다. 과거의 작업이 자연스런 번짐에 충실했다면 요즘은 번진 원형에 인위적 붓질을 추가함으로써 윤곽이 분명한 동그라미를 얻어낸다. 여기에 색을 다시 덮고 원형을그려넣기를 여러 차례 반복한다. 정현숙은 이런 작업을 타시즘(Tashismeㆍ얼룩화)이라고 설명했다. 작가가 이미지를 직접 그려내는 게 아니라 먼저 안료의 번짐에 의존한다는 의미이다. 정현숙의 작품에 대해 미술평론가 고충환은 이렇게 설명한다. “심연의 지층으로부터 번짐 효과에 의한 원형의 형상이 자기를 드러내는 것이며, 그 드러남을 가능케 하는 것이 빛이다. 작가는 빛과 어둠의 교적으로써 생명의 순환원리를 잉태한 자궁을, 우주를 형상화시킨다. ” 작가는 최근 국제아트페어에 잇따라 작품을 내고 있다. 오는 10월 초에 개최되는 호주 멜버른 아트페어와 10월 30일 시작하는 독일 쾰른 아트페어에도 출품할 예정. 그는 이화여대에서 서양화를 전공한 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미술대학원에서 수학했다. (02)544-8481-2. 이용웅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