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 中정부에 '고구려 삭제' 공식 항의

정부는 중국 외교부가 부처 홈페이지(www.fmprc.gov.cn)에서 한국의 역사를 소개하면서 3국에서 고구려를 삭제한 것과 관련, 13일 김하중 주중 대사를 통해 공식으로 항의했다. 이는 중국내 일각의 고구려사 편입논란 이후 나온 정부의 첫 공식 조치여서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14일 “외교적인 절차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중국 정부와 접촉한 구체적인 내용은 지금으로서는 공개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고구려사 논란과 관련, 한ㆍ중 양국이 정치적으로 해결하기보다는 학술적으로 해결하자고 합의해놓고 공식적인 대외 표현수단인 외교부 홈페이지에서 고구려를 삭제한 것은 명백한 합의 위반인 만큼 이를 집중적으로 따진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외교부는 이번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 그 동안 문화외교국에서 다뤄온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시도 문제를 아시아태평양국 소관으로 넘겨 주목된다. 지난 2월 13∼15일 방한했던 중국 외교부 왕 이(王 毅) 부부장은 고구려사 편입논란에 대해 정부 차원이 아닌 학술차원에서 접근하자는 의견을 내놓았으며 한ㆍ중 양국이 이에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중국 외교부는 홈페이지에서 한국의 역사를 소개하면서 한국은 ‘서기 1세기 전후 한반도 북부 일대에서 출현했으며 신라ㆍ백제ㆍ고구려 등으로 분할된 정권이었다’는 문구를 지난 4월20일 개정, 이 부분에서 ‘고구려’를 아예 삭제했다. 중국 외교부의 이러한 행위는 연초 중국내 일각의 고구려사 편입시도, 그리고 이달 초 신화통신ㆍ인민일보 등 관영언론의 ‘고구려는 (중국 왕조의) 지방정권’ 보도에 이어 나온 것으로 정부 차원의 의도가 개입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