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불참했던 지주사들 입장 바꿀까 촉각

産銀 재도전 가능성 속 KB금융·신한금융도 여건 성숙땐 참여할수도

우리금융 매각이 사실상 무산됨에 따라 관심은 다시 산은금융ㆍKB금융ㆍ신한금융ㆍ하나금융 등 국내 지주사들로 쏠리고 있다. 내년 혹은 다음 정권 때 우리금융 민영화가 다시 추진되면 이런저런 이유로 이번에 불참했던 금융지주사들이 입장을 바꿀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기존 입장을 바꿔 우리금융 계열사 분리매각에 나선다면 각 지주사들 간 치열한 쟁탈전이 벌어질 수도 있다. 가장 관심을 끄는 곳은 산은금융. 강만수 산은금융 회장은 이번 우리금융 매각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었지만 '메가뱅크' 논란 속에 꿈을 접어야 했다. 하지만 이번 사모펀드로의 매각도 무산돼 달리 대안이 없다는 것이 입증됐기 때문에 산은금융이 재도전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강 회장이 워낙 정치적 영향을 많이 받는 인물이기 때문에 이번 메가뱅크 역풍이 재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KB금융의 움직임도 관심이다. KB금융은 이번 매각에서 금융당국의 끈질긴 러브콜을 받았지만 우리금융을 인수할 여건이 안 된다는 이유로 끝까지 참여를 거부했다. 이는 반대로 인수할 여건이 갖춰지면 언제든 뛰어들 수 있다는 의지로도 해석된다. 금융권에서는 KB금융이 자사주 매각을 마친데다 영업실적도 향상되고 있어 내년 초 이후부터는 우리금융 매각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어윤대 회장이 그동안 우리투자증권을 분리 매각하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수 차례 밝힌 바 있어 일괄매각 방침에 변화가 올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신한금융은 지배구조 문제로 내홍을 겪은 탓에 우리금융 인수는 사실 엄두도 내지 못했다. 또 LG카드 인수에 따른 부채가 6조5,000억원에 달해 재무적 측면에서 참여가 어렵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우리금융 매각이 다음 정권으로 미뤄진다면 1년여의 시간이 남아 있는 만큼 재무적 여력이 회복되면 인수전에 뛰어들 수도 있다. 하나금융도 외환은행 인수 문제가 올해 말까지 마무리되면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우리금융 인수에 나설 수도 있다. 다만 외환은행 인수로 자금을 총동원했기 때문에 여력이 있느냐가 변수다. 정부가 우리금융 계열사들을 분리매각 할 경우 부산은행ㆍ대구은행 등 지방은행들도 적극적으로 뛰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금융의 지방은행인 경남ㆍ광주은행 인수를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부산은행은 이번 입찰에 MBK파트너스에 참여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