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교민철수 강력권고등 안전대책 분주

■정부 움직임<br>재발방지위해 피랍사건 모든 경과 재점검<br>시신 조기국내소환등 사태수습반 구성도

교민철수 강력권고등 안전대책 분주 ■정부 움직임재발방지위해 피랍사건 모든 경과 재점검시신 조기국내소환등 사태수습반 구성도 노무현 대통령이 23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김선일씨 피살'과 관련한 대국민 담화를 마치고 인사하고 있다. 오대근기자 정부는 김선일(33)씨가 끝내 사망함에 따라 23일 김씨 시신의 운구를 서두르고 장례와 보상문제를 원만히 해결하기 위해 본격 나섰다. 또 유사한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이라크의 복구와 재건을 돕는 서희ㆍ제마부대 지원활동 홍보 강화 ▦이라크 교민 철수 강력 권고 등의 다양한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아울러 김씨 피랍 및 사망시점과 구출협상 등 이번 사건의 경과를 재점검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새벽 김씨의 사망이 확인된 직후 권진호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이라크 추가파병 방침을 재확인하면서 이번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이라크 임시정부와 연합군 당국의 협조를 요청하기로 했다. 또 피해자 시신의 조속한 운구를 추진하는 한편 이미 파견된 현지대책반의 임무를 전환해 현지 공관원과 함께 수습대책반을 구성ㆍ운영하기로 했다. 신봉길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김씨의 시신송환과 관련, "정부는 현재 시신을 조속히 운구해오기 위해 유가족과 협의 중"이라며 "다만 의사의 동의서 및 운구절차 등 기술적인 문제로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장례는 가족의 뜻에 따른다는 게 정부 방침이다. 그러나 보상은 가나무역이 국내 이라크 관련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진통이 예상된다. 정부는 교민 안전대책도 강화하는 한편 필수인원을 제외한 체류국민의 신속한 철수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신 대변인은 "현행법상 이라크 교민들을 강제 철수시키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며 "그러나 이라크 공관은 교민들과 개별 접촉해 현지에서 철수할 것을 강력히 요구, 교민들도 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수석ㆍ보좌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정부는 예상될 수 있는 모든 상황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대처해달라"고 지시했다. 노 대통령은 특히 "극단적 테러단체의 반인륜적 행위가 아랍권 및 이라크 국민의 일반적 정서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 이번 사건에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달라"면서 "이번 사건의 경과를 면밀히 재점검해 재발방지에도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서희ㆍ제마부대 지원활동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이라크 교민들에게는 철수를 강력히 권고해달라"고 지시했다. 정부는 노 대통령의 이 같은 지시로 곧바로 후속조치에 착수했다. 당장 허성관 행정자치부 장관이 정부를 대표해 이날 오후 김씨의 빈소가 마련된 부산시립의료원을 방문, 유가족을 위로했다. 또 외교부는 논란이 되고 있는 김씨 피랍시점에 대한 진상을 조속히 밝히기로 했다. 노 대통령은 수석ㆍ보좌관회의에서 김씨 피랍시점에 대한 보고를 받고 "사실을 정확히 파악해 국민들에게 소상히 알려야 한다"고 지시했다. 구동본 기자 dbkoo@sed.co.kr 입력시간 : 2004-06-23 17:1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