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해운업계 “현행 회계제도 개선을”

대형선박 확보를 위해 수조원 규모의 외화 부채를 떠안고 있는 국내 해운업계가 환율 변동에 따른 재무제표 왜곡을 막기 위해 현행 회계제도의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해운업계의 재무제표는 현행 회계기준상의 외화환산손익 처리 방법 때문에 매년 원ㆍ달러 환율변동에 따라 왜곡 현상이 발생, 실제 영업실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외화환산손익이란 해운업계처럼 수억달러의 선박을 현금 거래없이 해외 파이낸싱을 통한 장기계약으로 구매할 경우, 매년 환율 변동에 따라 부채액 규모가 달라져 발생하는 손익을 의미한다. 실제로 국내 해운사들은 지난 99년 환율 하락으로 수출물동량이 감소해 실질 경상이익은 796억원에 그쳤으나 가공의 외화환산이익으로 인해 재무제표상의 경상이익은 4,929억원까지 부풀려졌다. 2000년에는 환율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1조원을 넘어서고 실질 경상이익도 1,149억원에 달했으나 9,345억원에 달하는 외화환산손실로 인해 오히려 8,196억원의 경상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계상됐다. 한국선주협회 관계자는 “현행 규정으로는 예상이 불가능한 환율변동으로 실제 영업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극한적인 모습도 연출한다”면서 “별도로 해운업 특성을 감안한 회계준칙을 제정하거나 외화환산손익을 이연, 상각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해운업계의 경쟁력은 물론 기업의 주가에도 큰 영향을 미쳐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최인철기자 michel@sed.co.kr>

관련기사



최인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