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硏 보고서 "국내銀 외화 레버리지 높아 환율변동에 취약"

국내은행들의 외화부채가 외화자산보다 500조원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외환시장 변동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병수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국내은행의 외환건전성 및 관련규제 개선방안' 보고서에서 "국내은행은 외화 레버리지(차입투자)가 지나치게 높아서 환율변동 및 신용경색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 6월 말 현재 국내은행은 외화자산(152조원)보다 외화부채(200조6,000억원)가 현격히 많으므로 환율이 상승할 때 상당한 규모의 환차손을 보게 돼 있다"며 "6월 말 현재 외화 예대율이 229.7%에 달할 정도로 외화대출의 재원을 외화차입금과 외화사채 등 도매자금으로 충당하고 있어 신용경색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외화유동성 위기를 겪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국내은행은 신용경색 상황에서 조달할 수 있는 외화자금이 부족하기 때문에 유동성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미국 국공채 등 위기시 처분할 수 있는 양질의 외화자산은 수익률이 낮다는 이유로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배제되고 있으며 법적 구속력을 가진 외화 크레디트라인(신용한도)도 약정수수료 부담 때문에 기피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 위원은 "국내은행의 외환건전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면 우선 해외점포 현지화를 통해 안정적 외화자금 조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국내은행 외화자산의 유동성을 개선하려면 외화유동성 및 만기불일치 비율의 계산시 개별 외화자산의 현금화가 쉬운지를 고려해 항목별로 가중치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