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내재배 중국쌀 시중유통

작년 수확량 대부분 농협서 일반벼로 수매검역과정을 거치지 않고 불법으로 밀반입된 중국 벼가 대량으로 재배돼 파문이 일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재배된 중국 벼 대부분이 농협에 의해 수매가 이뤄져 국내산과 섞여 시중에 유통된 것으로 확인돼 충격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산 쌀이 상대적으로 생산비용이 저렴한 중국 쌀에 가격경쟁에서 밀리는 등 국내 쌀시장의 유통질서와 농민들의 피해 등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19일 강원지역 중국 벼 재배농가에 따르면 지난해 일부 농가들이 재배한 중국산 벼를 농협 수매 때 일반 벼(잡벼)로 수매했다. 이 같은 현상은 농협이 대표적인 국내산 품종개량 벼인 오대벼와 이를 제외한 모든 벼를 일반 벼로 양분해 수매하는 과정에서 중국 벼를 일반 벼로 함께 사들였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벼는 육안으로는 오대벼와도 식별이 어려워 오래전부터 값비싼 오대벼로 둔갑해 시중에 유통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 이를 찧어 일반미로 유통시킬 경우에도 국내 일반벼와 밥맛도 비슷해 소비자로부터 별다른 문제점이 제기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중국벼를 3년째 재배하고 있는 한 농가는 "오대벼가 태풍에 쓰러질 경우 평상시에는 절반밖에 수확을 할 수 없어 중국벼를 심기 시작했는데 밥맛도 괜찮으며 생산량도 2배 가량 돼 잡벼로 수매에 응했다"고 밝혔다. 오철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