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치우친 인선'에 대한 우려

새 정부의 ‘뼈대’라고 할 수 있는 정부조직개편안에 이어 새 정부의 ‘브레인’ 역할을 할 청와대 수석비서관 내정자가 10일 발표됐다. 정부조직개편안이 현행 ‘18부 4처’를 ‘13부 2처’로 줄여 작고 실용적인 정부의 청사진을 보여줬다면 이번 인선 결과는 능력 있는 젊은 인재를 기용하는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을 축약해서 보여준다. 지금까지 새 정부가 출범할 때는 지역과 학력을 적절히 안배하는 것이 불문율이었다. 하지만 이번 청와대 참모진 인선에서는 그런 관행이 깨졌다. 8명의 수석 중 4명은 경상도 출신이고 4명은 서울 출신이다. 출신대의 경우 서울대 출신(4명)이 가장 많지만 고려대 교수로서 하버드대에서 학부와 대학원을 나온 김병국 외교안보수석 내정자까지 합치면 고려대 출신은 3명이 된다. 경제 살리기에 국정과제를 집중시킨 이 당선인의 색깔도 분명히 드러났다. 수석 8명 가운데 5명은 경제학과 출신. 또 1명을 빼고는 미국 대학의 석ㆍ박사 학위를 받았다는 사실도 앞으로 국정방향을 짐작하게 한다. 하지만 이 당선인의 치우친 인사 스타일은 포용력과 인재풀의 한계에 다름 아니라는 따끔한 지적에도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전라ㆍ충청도의 인재를 확보하려는 노력이 무산됐으니 말이다. 이 당선인 본인이 ‘현장에 밝다’는 이유 만으로 청와대가 학자 출신의 인재로만 가득 채워지면 오히려 현실과 동떨어진 ‘상아탑 청와대’가 될 수 있다는 우려 또한 일리가 있어 보인다. 5년 전 노무현 대통령 당선인은 청와대 비서관 인선을 하면서 국정 경험이 없는 민주화 운동세력을 대거 끌어들였다. 이들은 노 대통령과 호흡을 잘 맞추는 소위 ‘코드’가 맞는 인물들이었지만 국정 경험이 전무하다 보니 아마추어리즘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지적이 집권 기간 내내 따라다녔다. 개혁과 변화를 주도하겠다던 ‘젊은’ 청와대는 오히려 비대한 조직에 눌려 지금은 스스로가 개혁의 대상이 돼버렸다. 일 잘하는 정부도 중요하지만 권력이 한쪽으로만 집중되고 의사결정 과정에 독과점이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청와대 비서진에 이어 발표될 조각 때 이를 보완한 인선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