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삼성 ‘대학총장 추천제’…"대학별로 몇명?"

삼성그룹이 신입사원 채용 과정에서 총장이 추천할 수 있는 인원을 대학별로 차등 배정했다.

삼성 측은 그동안 합격률과 대학별 학과 특성을 고려해 배정했다고 설명했지만, 국내 최대그룹이 대학을 사실상 서열화했다는 것이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지역별, 학교별 추천인원이 크게 차이가 나면서 일부에서 공정성에 대한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삼성그룹은 지난 15일 서류전형을 강화하는 내용 등의 ‘신입사원 채용제도’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각 대학 총장이 추천하는 인원은 서류전형을 면제해 주겠다고 밝혔다.

그 후속 조치로 삼성은 각 대학에 총장이 추천할 수 있는 인원을 통보했다.

27일 각 대학에 따르면 성균관대가 가장 많은 115명(저소득층 인원 제외)의 추천인원을 할당받았고, 서울대와 한양대에 각각 110명, 경북대와 연세대, 고려대는 각 100명씩을 배당받았다.


그 뒤로는 부산대(90명)와 인하대(70명), 경희대(60명), 건국대(50명), 중앙대·부경대·영남대·아주대(45명), 전남대·동국대(40명), 광운대(35명) 순으로 추천 인원이 많았다.

관련기사



삼성 측은 최근 몇 년 동안의 대학별 입사자 수와 대학 규모, 특성 등을 고려해 추천인원을 배정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내 최대그룹인 삼성이 대학별로 추천인원을 차등배정한 자체가 ‘대학 서열화’를 조장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재단이 삼성그룹과 연관된 성균관대가 가장 많은 인원을 배정받은 것을 두고 특혜 논란도 제기됐다. 그뿐만 아니라 지방대학 중에서도 호남보다 영남 지역 대학이 혜택을 받았다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영남권의 경북대와 부산대는 각각 100명, 90명을 할당받았지만, 호남권의 전남대와 전북대는 각각 40명, 30명을 배정받았다. 이 외에도 영남에서는 부경대(45명), 영남대(45명) 등은 서울의 주요 대학보다 더 많이 할당받았다. 또, 여대 중에서는 이화여대(30명)의 할당 인원이 가장 많았고, 그 뒤로는 숙명여대(20명), 서울여대·성신여대(각 15명), 동덕여대(13명), 덕성여대(10명) 등이었다. 반면, 서울소재 종합대학의 경우에는 추천인원이 30명이 넘는 곳이 많아 여대의 추천인원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삼성 측은 “이공계 등에 특성화된 대학 등을 중심으로 추천인원을 배정한 것”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성균관대를 비롯해 한양대, 경북대, 인하대 등은 삼성과 산학협력을 통해 특성화 학과를 개설해 운영하기 때문에 최근 몇 년간 입사 인원이 많았고, 그런 점이 배정인원을 정하는 데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삼성 측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삼성의 새로운 ‘신입사원 채용제도’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