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위기의 국민은행] "준법감시조직에 힘실어 주고 경영승계 프로그램 구축해야"

금융계 전문가 제언

금융계 전문가들은 국민은행이 땅에 떨어진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보다 강력한 개혁안이 필요하다고 주문하고 있다.

내부적으로 감사실뿐 아니라 준법감시조직을 보강해 물샐 틈 없는 감시 체계를 만들고 외부적으로는 외풍을 막을 최고경영자(CEO) 승계 프로그램 구축 문제를 고민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권 민간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국민은행은 감사실이 따로 있고 파워가 있지만 법적 책임이 있는 준법감시조직과 역할 등이 겹쳐 내부통제에 구멍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며 "준법감시조직에 힘을 실어주고 (내부통제에 있어) 제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윤창현 금융연구원장은 "약한 포인트에서 물이 계속 새는 상황을 경영진이 통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라며 "이건호 국민은행장이 리스크를 전공한 행장인데 조금 더 강력한 개혁 플랜이 필요할 것 같다"고 밝혔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이와 더불어 국민은행 안에 경영 승계 프로그램 등을 실효적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경영 승계 프로그램을 만들기는 했으나 실제 지배구조가 구축되는 과정에서는 관치에 휘둘려 전혀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금융지주의 한 고위관계자는 "KB가 관치와 정치권의 입김에 휘둘린 인사가 되다 보니 경영진이 노조와 갈등을 빚게 되고 이를 수습하기도 어렵다"며 "그런 일련의 과정에서 어차피 우린 관치의 그늘에 있다는 패배의식 등으로 느슨한 조직문화가 만들어지고 준법정신 해이 등으로 이어지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그는 "당국이나 정치권이나 KB 사태에 대해 큰소리만 칠 수는 없을 것"이라며 "차제에 은행 경영권은 시장에 맡겨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