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태안 수산물 맘놓고 드세요"

식약청 "인근해안지역 유통어류 이상없어"<br>앞으로 3개월간 주1회 안전성 검사키로


원유 유출사고가 발생한 태안 등 6개 오염지역에서는 현재 수산물 출하가 이뤄지지 않고 있고 이들 오염 및 인근 해안지역에서 유통ㆍ판매 중인 수산물은 안전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해양수산부와 합동으로 오염지역 및 인근지역에서 유통ㆍ판매되는 수산물에 대해 향후 3개월간 주 1회의 안전성 검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식약청은 27일 지난 19일부터 26일까지 재난지역으로 선포된 태안ㆍ서산ㆍ서천ㆍ보령ㆍ 당진ㆍ홍성 등 충남 6개 오염지역과 전북 군산ㆍ부안 등 인근지역을 포함한 총 10개 해안지역에 위치한 20개 위판장 및 횟집에서 유통ㆍ판매 중인 어류 20건, 패류 51건, 연체류 12건, 갑각류 9건 등 수산물 92건과 횟집 수족관 물 9건 등 총 101건을 수거, 원유 오염지표성분인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16종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 결과 수산물 92건 중 7건에서는 PAHs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나머지 85건도 모두 외국의 기준치보다 낮은 수준인 0.08~121.14ppb 농도로 검출됐다고 설명했다. PAHs는 원유에 포함된 200여종의 벤젠화합물을 총칭하는 용어로 이 가운데 ‘벤조피렌’ 등 16종이 대표적인 유해물질로 알려져 있다. 가장 독성이 강한 벤조피렌 독성을 기준으로 나머지 유해물질을 환산한 모든 값을 더한 PAHs 환산수치는 어류 0.01~0.07ppb, 패류 0.01~3.31ppb, 연체류 0.01~2.13ppb, 갑각류 0.01~0.61ppb로 어류는 유럽연합(EU) 기준의 30분의1, 패류는 3분의1에 불과했다. 횟집 수족관 물의 PAHs 환산수치는 0.001~0.002ppb로 세계보건기구(WHO)의 먹는 물 권고기준 0.7ppb보다 낮은 수준으로 파악됐다. 김명현 식약청장은 “현재 오염지역 수산물은 생산 및 출하가 금지돼 있고 일부 유통되는 수산물은 사고 전에 생산됐거나 오염되지 않은 먼바다에서 생산된 것”이라며 “오염된 수산물은 냄새 등 외관상으로 쉽게 알 수 있다”며 평상시와 다름없이 수산물을 구매, 소비해줄 것을 당부했다. 식약청은 해양부ㆍ충남도와 협조해 오염 수산물이 출하, 유통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며 인근해역 해수 및 횟집 수족관 물에 대해 안전검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방침이다. 이날 브리핑에 참석한 최장현 해양부 차관보는 “수산물이 안전하다는 확증이 되지 않을 때까지는 출하하지 않도록 행정지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같은 식약청의 발표에 대해 태안 지역 주민들은 안도하면서 외지 관광객들의 관심을 촉구했다. 태안읍 방포해수욕장에서 횟집을 운영하는 김모씨는 “태안 지역 횟집에서 파는 어류들은 대부분 먼버다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태안읍 주민 정모씨도 “방제 봉사활동 못지않게 관광을 위해 태안을 찾아줬으면 한다”며 “정부 당국이 수산물에 이상 없음을 적극 홍보해달라”고 주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