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건설업체들 인허가 받고도 착공 미뤄

분양 전망 불확실·금융권 자금 압박<br>8월까지 착공 면적 작년比 22.7% 급감

주택건설업체들이 불확실한 분양 전망과 금융권의 자금 압박으로 인허가를 받은 사업의 착공을 계속 미루고 있다. 이는 2~3년 뒤 입주할 수 있는 주택 물량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앞으로 부동산시장의 불안요인이 될 전망이다. 12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말까지 건축 착공 면적은 5.055만㎡로 지난해 같은 기간(6,539만㎡)에 비하면 22.7%나 줄었다. 특히 주거용 건축물의 착공 면적은 1.043만㎡에 불과해 지난해 같은 기간 (2,258만㎡)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상업용 건축물(1,064만㎡)과 교육ㆍ사회 건축물(508만㎡)은 각각 1.6%, 9.5% 줄었고 공업용 건축물(1,155만㎡)만 1.5% 증가했다. 특히 8월 주거용 건축물의 착공 면적은 113만㎡에 불과해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65.7%나 감소했다. 4월(157만㎡) 이후 4개월 연속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건축 착공 면적 감소는 인허가를 받고서도 건축물을 짓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건설회사들이 금융권의 대출을 받기 어려운데다, 착공을 해도 좋은 분양성적표를 받기 어렵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상황이 장기화되면 수요에 비해 공급 물량이 부족한 수급불균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건축 인허가 면적도 줄고 있다. 8월에는 832만㎡만 인허가를 받아 지난해 동월 대비 27.3%나 줄었고 주거용만 놓고 보면 276만㎡로 44.3% 감소했다. 1~8월 누계로는 전체적으로 7,764만㎡로 6.0% 줄었고 주거용은 2,231만㎡로 22.4% 감소했다. 한편 건설업체들의 자금난이 심화되면서 올해 8월까지 부도난 건설업체는 모두 255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5.7%나 늘어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