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카메라·스마트폰이 시각장애인 눈으로

SKT, 웨어러블형 원격 영상관리 서비스 개발

SK텔레콤이 카메라와 스마트폰을 연동해 시각장애인의 눈 역할을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상반기 테스트를 거쳐 하반기에 상용 서비스가 제공된다.


SK텔레콤은 시각장애인이 보고 싶은 영상을 웨어러블형 카메라와 스마트폰으로 상담원에게 전송하고 음성통화로 내용을 확인하는 '원격 영상관리 서비스'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관련기사



이 서비스는 시각장애인이 버스 번호, 버스 도착안내, 음식물 유통기한, 도시가스 검침, 고지서 확인, 전자제품 사용법 등을 알고 싶을 때 유용하다. 작동은 시각장애인이 귀에 건 웨어러블형 카메라의 버튼을 누르면 스마트폰 앱이 작동해 상담원과 연결된다.

상담원은 시각장애인의 눈이 돼 카메라에 찍힌 영상을 보고, 그 내용을 알려주는 방식이다. 카메라나 스마트폰 작동을 위해 버튼을 여러 번 누를 필요가 없고, 활동보조인이 올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두 달 동안 시범 운용 후 하반기에 본격적인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다.

이명근 SK텔레콤 기업사업부문장은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시각장애인도 언제 어디서나 필요할 때 활동보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며 "정상시력을 갖고있는 지체장애인도 상담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애인의 고용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