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지역에서 발견된 메르스가 동일 질병인지 조사가 국내외에서 진행 중이다. 한국과 중국의 조사에서는 가장 중요한 바이러스 유전자 염기서열이 동일하다고 발표됐다. 이는 질병의 특징, 즉 전파 방식이나 치료·예후 등에서 중동에서의 경험을 참조할 수 있다는 뜻이다. 현재의 메르스가 우리 국민들이 걱정하는 만큼 무서운 병이 아니라는 정부의 발표는 중동 지역에서 경험한 메르스 특성을 기준으로 하는 말이다.
요양원·복지관 등 노인감염 차단 시급
그렇지만 우리가 느끼는 한국의 메르스는 중동에서의 경험과 비교할 때 몇 가지 다른 점이 분명히 있다. 우선 병원에서 감염 양상이 조금 다르다. 한국의 병원에서 6인실·8인실 등이 일상적이지만 외국에서는 그렇지 않다. 한국의 대형병원 응급실은 병원인지 시장 바닥인지 알기 어려울 정도로 혼잡하다. 그래서 특히 우리는 병원에서 감염의 연쇄 반응을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가족과 간병인의 감염과 여러 병원에서 동시다발 감염도 특이하다. 온 가족이 문병을 오는 것이 일상적인 한국 병원의 관습과 여러 병원을 다니는 일부 환자들의 관행이 이런 부작용을 낳은 것 같다.
질병관리본부의 초기 대응에 문제가 있었다. 처음부터 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감염 스크리닝을 했어야 했다. 지금이라도 자원과 인력을 아끼지 말고 광범위한 검사로 검역 망을 빠져나가는 환자, 즉 진단이 지연되거나 진단되지 않은 환자를 줄이는 데 총력을 다해야 한다. 메르스 감염에 대한 국민의 막연한 두려움도 문제다. 예방 백신이 없고 치료약이 없다는 것은 잘못된 지식이다. 메르스 치료는 폐렴으로의 진행을 막고 호흡기 증상을 치료하는 것이다. 대부분(감염자의 80%) 건강했던 사람은 회복되고 후유증 없이 퇴원한다.
방역과 질병 관리에 대한 투자도 문제다. 음압격리 시설 등 효율적인 방역체계를 만들고 유지하는 데 재정투자와 노력이 부족했다. 복지 정책에 돈을 퍼붓고 있지만 공공 보건에 대한 공공재 투자를 충분히 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 한국의 메르스에 대한 기록 관리와 연구가 충분한지도 지금 점검해야 한다. 언론과 국민들의 관심에 비해 학술적 질병 연구에 대한 관심은 거의 전무하다. 사망한 환자를 부검해 필요한 연구를 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의 방어 능력이 개선되기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방역체계 구축 노력·투자 늘려야
메르스로 진단을 받은 환자의 평균 연령은 54.9세로 주로 장년과 노인에서 병을 일으킨다. 국내 메르스 사망자의 나이는 대부분이 70세 이상이다. 따라서 메르스 관리에서 현실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노인에 대한 감염 차단이다. 노인 인구 증가와 노인 복지 향상에 대한 투자로 노인요양원·노인병원·노인복지관이 다수 설립돼 운영 중인데 이들 기관이 메르스 사태에서 가장 취약하다. 젊은이는 균에 노출돼도 증상이 없거나 미약하기 때문에 본인이 모르는 상태에서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 있다. 가족을 포함한 외부인의 접근을 차단하고 내부 운영인력도 방역에 신경을 더 써야 한다. 사회복지사나 요양보호사들은 시설 어르신의 건강을 지키겠다는 자세로 스스로를 관리해야 한다. 노인들이야말로 메르스에 가장 취약하고 직접적인 피해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