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행정도시 합헌결정 열흘… 시장 반응은

충청권 다시 활기…과천도 '꿋꿋'<br>천안등 주변지역까지 값상승세 두드러져<br>"문의전화 2~3배 늘고 미분양 크게 줄어"<br>과천 재건축…대형평형 중심 상승세 여전


행정중심 복합도시 건설 특별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합헌 결정 이후 충청권 아파트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헌재 판결 11일째를 맞은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충청권 아파트시장에 매수세가 몰리면서 매매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또 분양시장이 달아오르고 미분양도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특히 이 같은 활기는 행정도시가 건설되는 연기ㆍ공주뿐 아니라 인근 천안ㆍ대전지역으로까지 파급효과가 미치고 있다. 시세 하락과 미분양 속출 등으로 꽁꽁 얼어붙은 다른 지방 아파트 시장과 대조적이다. 현재 사실상 행정타운 역할을 하고 있는 과천은 정부부처 이전으로 시장이 냉각될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는 달리 재건축과 대형평형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충청권 매매가 강세=행정도시 예정지인 연기ㆍ공주와 주변 지역인 천안ㆍ아산ㆍ대전지역 부동산 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 ‘8.31대책’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연기군과 공주시 일대 아파트 매매가는 합헌 판결 이후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24일 합헌 결정 이후 연기군 일대 아파트 가격이 일주일 만에 0.56% 상승했다. 조치원읍 욱일 1차 35평형이 1억4,000만원, 신동아 42평형이 1억3,500만원, 주공2단지 31평형 1억1,550만원 선에 거래되고 있다. 공주시는 금흥동 현대 4차 42평형이 2억750만원으로 평당 494만원이며, 신관동 현대 2차 42평형이 1억6,000만에 거래되고 있다. 천안지역 가격 상승세도 두드러지고 있다. 천안시 백석동의 경우 1주일 동안 1,000만~3,000만원 가량 상승, 1억3,500만원에 거래되던 현대 42평형은은 1,500만원이 올라 1억5,000만원에 매매되고 있다. 대전은 매수문의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매물이 회수되면서 거래는 거의 없고 호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 유성구 전민동 엑스포 49평형이 2,000만원 올라 2억5,000만~3억3,000, 교촌동 제이파크 45A평형이 1,750만원 상승, 2억8,000만~3억2,50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분양시장 활기, 미분양 줄어=분양 단지에는 활기가 넘치고 있다. 지난달 29일 분양에 들어간 아산 배방자이 2차의 경우 첫날 5,000명이 몰린 데 이어 이번 주말에는 2만여 명이 찾았다. 이에 앞서 청약 신청서 접수를 통해 분양된 배방자이 1차, 배방 중앙하이츠도 열기가 높았다. 배방자이1차는 1,874가구 모집에 1~3순위 1,500명이 신청했고 배방 중앙하이츠는 45평형이 최고 3.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대부분 평형이 청약 마감했다. 미분양도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아산 배방 롯데캐슬(704가구), 아산 풍기동 동일하이빌(1,456가구)은 저층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한동안 줄지 않았지만 지난 주말부터 실제 계약 건수가 눈에 띄게 늘었다. 분양실적이 저조했던 계룡시 두마면 ‘대림e-편한세상’과 ‘포스코 더샵’에도 문의전화가 크게 늘었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행정도시 합헌 판결 이후 전화 문의가 2~3배 정도 증가했다”라며 “행정도시에서 거리가 자동차로 20분 정도에 불과해 앞으로 수혜가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과천 재건축도 꿋꿋=과천시는 행정기관 이전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는 예상과는 별다른 동요를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일부 재건축과 대형평형은 가격이 크게 오르고 있다. 지난 한 주간 매매가는 0.16% 올랐다. 중앙동 주공 10단지 40평형은 ‘8.31대책’ 이전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행정도시 합헌 판결 이후 일주일 동안 2,500만원이 올라 10억5,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10단지 33평형 역시 8억8,000만원에 매물이 나오고 있다. 별양동 일대 역시 큰 변동 없이 강한 호가 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별양동 주공5단지 45평형이 1,000만원 상승해 8억2,000만~8억6,000만원, 주공 6단지 27평형이 7억4,750만원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가격은 단지별로 엇갈려 부림동 주공 8ㆍ9단지의 경우 많게는 3,000만원 이상 하락하기도 했다. 한 부동산 중개업자는 “행정도시 합헌 판결에 따른 충격은 별로 없다”라며 “집값이 재건축 추진 여부와 정부 부동산 정책에 오히려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