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야동순재에 대한 유감


"묻지도 따지지도 않습니다. 지금 전화하시면 나이에 관계없이 즉시 보험 가입됩니다." 아마 TV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광고 문구일 것이다. 대발이 아버지, 야동순재 등의 애칭으로 대중의 사랑을 듬뿍 받는 국민탤런트 이순재 선생님. 그 인자하신 모습으로 어르신들에게 보험 가입을 권유한다. 나도 그 분의 팬 중 하나다. 이 보험은 어르신을 상대로 한다. 어르신들은 자식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 사망하거나 아플 때를 대비해서 보험을 들려 한다. 그러나 나이가 많아 보험에 들지 못하거나 보험료가 터무니없이 비싸다. 바로 이 보험은 어르신들의 이 구석을 정확하게 파고들었다. 그 결과는 대박이었다. 그러나 이 보험에 대한 소비자들의 원성이 만만치 않다. 나는 이 문제를 국회 정무위원회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2년 연속 제기했다. 이 광고의 최대 문제점은 두 가지다. 첫째, 이 보험은 '갱신형 상품'이다. 5년짜리 갱신형 상품은 그 기간 내 사망하거나 아프지 않으면 돈만 붓다가 끝난다. 다시 가입해야 하는데 그전에 돈 부은 것 모두 무효다. 게다가 나이를 더 잡수셨기에 위험도가 커졌다고 보험료 많이 올라간다. 그런데 광고 어디에도 갱신형 상품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다. 둘째, 보장 혜택 중 상당수가 '특약' 조항이다. 기본 계약 이외 돈을 더 내는 계약을 해야 보장받을 게 많다는 것이다. 얼마나 돈이 더 드는지 자세한 설명이 없다. 물론 최종 계약할 때 제시되는 약관에 다 나와 있다. 그러나 젊은 나도 자세히 읽지 않는 깨알 같은 약관을 어르신이 제대로 읽겠는가. 난 원칙적으로 보험을 TV에서 파는 것을 반대한다. 당국은 수요가 있고 내수도 활성화하는 차원에서 오히려 확대할 기세다. 소비자 특히 어르신들이 내용도 잘 모른 채 광고효과에 혹해 덜컥 보험에 가입하는 것을 계속 보고만 있을 것인가. 나는 이번 정기국회에서 TV에서 보험파는 것을 규제할 법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참, 치과 관련 보험도 잘 살펴보시라. 갱신형인지, 1년에 임플란트는 몇 개까지 가능한 지 등. TV 화면에 뜨는 큰 글씨 말고 보일락 말락한 작은 글씨와 광고 말미에 엄청 빠른 속도로 뭐라 뭐라 얘기하는 여성 분의 목소리를.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