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7년 노력 끝에 우라늄 공동개발 합의

한-카자흐스탄 "원자력 전면 협력"<br>광물공사 건의에 李대통령 합의 이끌어내<br>올 우라늄 자주개발률 6.7%달성 무난할듯


SetSectionName(); 7년 노력 끝에 우라늄 공동개발 합의 한-카자흐스탄 "원자력 전면 협력"한전·광물公등 협력 원전연료 안정확보 가능올해 우라늄 자주개발률 6.7%달성 무난할듯 우승호기자 derrida@sed.co.kr 이명박 대통령이 22일 오후 청와대에서 국빈 방문한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며 기념촬영을 하기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손용석기자 ImageView('','GisaImgNum_2','default','260');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우리나라가 카자흐스탄과 우라늄 광산 공동개발에 합의함으로써 올해 목표로 했던 우라늄 자주개발률 6.7%를 무난히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또 중장기적으로 수요가 급증하는 원전연료에 대한 안정적인 확보도 가능하게 됐다. 그러나 지난 7년 동안 카자흐스탄의 우라늄을 확보하기까지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우리나라가 카자흐스탄 우라늄에 첫 관심을 가진 것은 지난 2003년 참여정부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옛 산업자원부는 우라늄 자주개발 방안을 마련하고 카자흐스탄을 중점 진출대상국으로 선정했다. 단순 원료수입에서 광구확보로 방향을 잡은 것이다. 카자흐스탄은 우라늄 매장량 2위, 생산량 1위의 우라늄 부국이다. 지난해 세계 생산량의 36.1%를 차지했고 우리나라도 연간 원전 소요량의 25%를 카자흐스탄에서 공급 받고 있다. 2004년 9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카자흐스탄을 방문하면서 우라늄 개발은 급물살을 탔다. 카자흐스탄 우라늄 공사인 카즈아톰프롬사와 부제노브스코에-2 광산을 공동 개발하기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잠재 매장량 3만톤, 생산규모 연간 1,000톤의 유망 광구였다. 협상은 2004년 말부터 시작됐다. 순탄했던 협상이 본계약 체결을 앞두고 난관에 부닥쳤다. 한국은 우라늄 정광을 원했지만 카자흐스탄은 자국 내 가공공장에서 처리한 성형가공품(펠렛)을 가져갈 것을 주장하면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2006년 5월 카자흐스탄이 러시아에 지분을 넘기면서 카자흐스탄과의 합작사업은 무산됐다. 이후 일본은 2007년에, 중국은 2009년에 각각 카자흐스탄과 우라늄 공동개발 합작계약을 맺었다. 우라늄 광산의 지분 일부를 넘기는 대가로 카자흐스탄 기업이 핵연료의 채광ㆍ변환ㆍ농축ㆍ성형가공 과정에 참여하는 조건이다. 한국이 성형가공 산업을 위해 정광을 고집한 반면 일본ㆍ중국은 성형가공품을 받아들여 계약을 성사시킨 것이다. 카자흐스탄과의 합작실패로 한국은 세계 6위의 원전보유국이지만 우라늄 자주개발률은 0%인 국가가 됐다. 정부와 한국전력, 광물공사 등은 우라늄 사업 진출방안을 놓고 대책 마련에 부심했다. 광물공사는 우라늄과 구리를 남미ㆍ아프리카에서 확보한다는 2+2전략을 내세웠다. 우라늄 확보를 위해 지난해 3월 아프리카 니제르를 방문, 정부소유 우라늄 지분 4%와 향후 10년간 4,000톤 생산을 약속 받았다. 지난해 12월 기본계약을 체결해 본계약만 남겨뒀다. 니제르에서 우라늄을 확보했지만 2016년 우라늄 수요가 지금보다 50% 많은 6,000톤, 2017년에는 8,000톤이 필요한 상황에서 세계 생산량 1위인 카자흐스탄과의 제휴가 절실했다. 지난해 5월 이명박 대통령이 카자흐스탄 방문에 앞서 가진 모임에서 광물공사는 한ㆍ카자흐스탄 양국 간 우라늄 합작개발을 건의했다. 이 대통령은 카자흐스탄 대통령과 정상회담 때 우라늄을 공동 개발하자는 합의를 이끌어냈다. 한국전력은 1년간의 숙고 끝에 카자흐스탄의 우라늄 광산 개발이라는 대승적 차원에서 전향적으로 카자흐스탄산 성형가공품의 한국 도입을 결정했다. 한국이 우라늄 매장량 2위, 생산량 1위인 카자흐스탄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셈이다. 양국은 9월까지 포괄적 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올해 중으로 공동협력 사업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