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래잡이' 찬반논란 확산

울산 장생포 주민 "포경허용 서명서 IWC에 전달"<br>환경단체 "마구잡이 포획으로 생태계 파괴 우려"


“전통 식(食)문화 계승을 위해 고래잡이를 허용해야 한다” “전근대적인 고래잡이 대신 고래관광산업 육성에 매진해야 한다” 이 달말 개최되는 국제포경위원회를 앞두고 포경 허용을 둘러싼 찬반 논란이 커지고 있다. 국제포경위원회는 12개 종류의 대형 고래를 보호할 목적으로 지난 86년부터 세계 전역에 포경 유예 조치를 내렸다. 우리나라도 30년 넘게 포경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옛 고래잡이 전진기지였던 울산 남구지역을 중심으로 제한적 포경 허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정부도 이를 허용한다는 방침을 밝히자 환경단체들의 반발이 거세지는 등 논란이 가열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울산 남구의 김두겸 구청장은 오는 21일부터 포르투갈 마데이라에서 열리는 국제포경위원회(IWC)에 정부대표 자격으로 참석, 제한적 고래잡이 재개를 요청할 계획이다. 김 청장은 이 자리에서 울산의 전통음식문화인 고래고기 식(食)문화의 계승을 위해 생태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제한적 고래잡이를 허용해 달라고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구청장의 요청이 정식 의제로 채택되면 IWC 산하 과학위원회가 포경 재개를 위한 고래 개체 수 조사에 나서고 조사결과가 총회를 통과할 경우 빠르면 오는 2015년 이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제한적 포경이 가능해진다. 이에 앞서 울산 남구 장생포 지역 주민들도 최근 전개한 ‘포경 재개 촉구 서명운동’을 통해 마련한 시민 2만여명의 서명서를 이번 국제포경위원회에 전달할 계획이다. 그러나 환경운동연합과 국제그린피스 등 환경단체들은 “고래잡이 허용을 요청하는 것은 전 근대적 발상”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와 울산환경운동연합은 최근 울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한적 포경이 허용되면 마구잡이식 포획이 성행해 고래 생태계가 파괴될 것”이라며 포경재개 시도 중단을 촉구했다. 국제환경운동 단체인 그린피스도 울산환경운동연합에 보낸 성명서를 통해 “지난 2005년 울산에서 열린 IWC 연례회의 때 한국 국민 60% 이상이 포경을 반대하고 25%만 지지했다”며 “포경재개는 건강한 바다 생태계를 되찾는 데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편 전 세계 국가중 IWC의 승인을 받아 제한적 포경을 실시중인 나라는 일본과 노르웨이,아이슬란드 등이 있으며 이들은 연구조사를 목적으로 포경을 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