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성환 외교 취임 "재외공관 고위직 민간 개방 확대"

"특혜 단어 들리지 않게 능력인사 실현"<br>부적격자 퇴출도 도입

이명박 대통령이 8일 오후 청와대에서 김성환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을 새 외교통상부 장관으로 임명한 뒤 임명장을 주고 있다. /왕태석기자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8일 취임식을 겸한 직원 상견례를 갖고 "재외공관 고위직을 개방해 비직업외교관이 공관장이나 공관 간부로 봉직할 수 있는 길을 넓히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가진 제36대 외교부 장관 취임식 취임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특히 특채 파동에 따른 인사쇄신과 관련, "'특혜'라는 단어가 다시는 들리지 않도록 능력 본위의 인사를 실현하겠다"며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 제도를 확립하고 과감한 조직쇄신 방안을 마련해 '공정 외교부'를 실현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이어 불미스러운 특채 파동 문제를 정리하고 새로운 외교부로 거듭나기 위한 네 가지 외교전략을 밝혔다. 김 장관이 강조한 전략은 ▦총력외교 ▦복합외교 ▦디지털 네트워크 외교 ▦소프트 파워 외교 등이다. 김 장관은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를 비롯한 민간 부문이 외교에 참여하는 총력외교로 전환해야 한다"며 "국제사회에서의 국익은 군사력과 경제력 등 '하드 파워' 뿐 아니라 문화와 가치, 국가 이미지 등 '소프트 파워'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 받고 있다"고 외교전략 선정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러한 외교 전략을 성공적으로 추진해나감으로써 한반도와 동아시아 글로벌 무대에서 새로운 도전에 적극 대응하고 통일시대를 준비하는 기반을 다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 역량과 조직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김 장관은 "외교관 교육을 강화하고 검증과 퇴출 제도를 엄격히 시행해나가고자 한다"며 "공관장 적격심사 기준도 강화하는 동시에 역량 평가를 통해 부적격자를 선별ㆍ퇴출하는 제도도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김 장관은 직원들에게 "앞으로 외교부가 공정하고 투명한 조직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구성원 모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와 자기희생 의지가 없이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며 앞으로의 외교부 개혁에 적극적인 참여를 주문했다. 또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김 장관은 "남은 기간 총력을 기울여 회의 준비에 추호의 차질도 없도록 해야 한다"며 "대한민국의 저력이 다시 한 번 전세계인의 머릿속에 각인될 수 있도록 하자"고 했다. 앞서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고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 보고서를 채택했으며 곧바로 이명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김 후보자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