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의원들 '박근혜 독주' 제동

한나라 원내대표 김형오- 朴 전 대표측 전대 압승 경계심리 작용한듯

13일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으로 선출된 김형오(왼쪽) 전재희(오른쪽)의원이 강재섭 대표와 손을 맞잡고 있다. /오대근기자

한나라당 의원들은 13일 실시된 원내대표 선출에서 ‘박근혜 독주’에 제동을 거는 쪽을 선택했다. 지난 11일 전당대회가 박근혜 전 대표측의 압승이었다면, 13일 원내대표 경선은 이명박 전 시장쪽이 반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경선은 박근혜 전 대표의 최측근인 김무성 의원과 ‘친박(親朴)’으로 분류되지만 상대적으로 측근 이미지가 덜한 김형오 의원의 대결이었다. 박 전 대표가 지지한 강재섭 대표 등 ‘친박’ 인사들이 전대를 통해 지도부에 대거 입성하면서 상당수 의원들이 박 전 대표측의 지나친 독주를 경계, 김형오 의원을 원내대표로 뽑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김 원내대표도 경선에서 의원들의 이런 심리를 집중 공략했다. 그는 투표 전 “원내대표 1년 임기 동안 의원들이 대권 주자들로부터 줄서기를 강요 당하면 끝장이다. 원내에서만큼은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막아야 한다”며 김무성 의원을 정면 겨냥했다. 김 원내대표는 또 후보간 토론에서도 “김 의원이 전대 직전 당원들에게 전화를 돌려 강 대표 지원했다는데 해명하라”고 공격했다. 전대에서 갑자기 박 전 대표의 대리인을 자처한 강 대표처럼, 김 원내대표도 경선에서 돌연 ‘비박(非朴)’으로 변신한 것이다. 더구나 이번 경선에서 이명박 전 서울시장측 인사들과 일부 소장중도파 의원들이 나서 김 원내대표를 지원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나마 김 원내대표가 지도부에서 합리적 균형추 역할을 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엔 김 원내대표의 ‘러닝메이트’인 전재희 의원이 비주류측과 가까운 사이란 점도 작용했다. 결국 전당대회와 원내대표 경선에서 두 유력 대권주자들은 ‘1승1패’를 기록했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새 지도부 구성을 두고 엇갈린 해석이 나온다. 김형오-김무성 의원이 범 박근혜계로 꼽힌다는 점을 보면 박 전 대표의 당 지도부 장악력은 확고해 보인다. 강 대표가 임명할 2인의 최고위원을 포함해 총9명의 최고위원 중 경우에 따라 6~7명 가량을 박 전 대표측에서 장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김 원내대표가 경선 과정에서 이 전 시장에게 ‘신세’를 진 점과, 강 대표가 임명직 최고위원 선정에서 ‘탕평’을 내세울 가능성을 고려하면 양대 대권주자간 힘의 균형이 쉽사리 깨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