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화력발전 매연 줄이는 신기술 개발

남부발전, 부산 1기에 시범설치

한국남부발전이 복합화력발전소의 가스터빈 가동시 발생하는 가시매연(황연)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신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황연은 발전소 가동초기 발생하는 매연인 이산화질소(NO2)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환경에 큰 피해를 주지는 않으나 대도시 인근에 위치한 복합화력발전소 등에서는 다량의 주민 민원을 유발해왔다. 남부발전은 27일 복합화력의 매연을 줄이는 ‘HC­SNCR 기술’(일명 에탄올을 이용한 무촉매 환원기술)개발 프로젝트에 성공, 최근 부산 복합화력 1기에 시범적으로 설치했다고 밝혔다. 회사측은 ㈜코캣과 공동으로 지난 2002년부터 전력산업 연구개발과제로 이번 신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50여 차례의 실험과 현장적용시험 등을 거쳐 2년 반 만에 성공했다. 신기술을 이용하면 발생하는 이산화질소 농도가 대기중에서 매연 측정이 안 되는 10ppm미만으로 떨어졌다. 회사측은 신기술이 기존의 선택적 촉매환원법(SCR법)과는 달리 고가 촉매반응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돼 부산복합화력(8기)에서만 약 200억원의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남부발전은 국내에 운영중인 총 110여기의 복합화력 발전소에 신기술이 확대 적용되면 최대 2,600억원의 비용절감이 예상되고 국내 환경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도 매우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함께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해외 5개국에 특허를 출원, 외화획득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