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야 총재회담] 내주로 늦춰질 듯

여야는 3일 비공식접촉을 갖고 총재회담 조기개최에 대해 조율을 거치는 등 가급적 조속히 회담을 열기로 방향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따라서 여러정황을 감안, 총재회담은 이르면 임시국회 종료후인 8일께 열릴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선거법 타결여부와 맞물려 9일이후로 넘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초 여야는 이번 총재회담이 뉴밀레니엄을 맞아 새로운 정치를 펴나가겠다는 다짐아래 가급적 연초에 회담을 여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3당3역회의가 5일 열기로 합의합에 따라 이번 주말 또는 내주 개최 얘기가 나오고있다. 여야 선거법 협상과 정형근(鄭亨根)의원 처리문제 등 각종 정치현안이 걸림돌로 작용될 소지가 다분해 선거법 협상여하에 따라 회담이 내주 이후로 늦춰질 공산도 크다. 이와 관련, 청와대 남궁 진(南宮 鎭)정무수석은 지난 1일 한나라당 여의도 당사로 이회창(李會昌)총재를 방문, 새해인사를 겸해 가급적 총재회담이 조기성사돼 여야수뇌간 마음을 터놓는 진솔한 대화의 자리가 마련되기를 희망한다는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일단 총재회담의 걸림돌은 선거법협상을 비롯 자민련 박태준(朴泰俊)총재 참석여부, 鄭의원 처리문제 등으로 압축된다. 이를 위해 여야는 신년연휴를 이용, 총재회담의 시기, 의제 등에 관한 활발한 물밑조율 작업을 벌였다. 여야는 일단 이같은 절충을 통해 정쟁 관련 고소·고발건 일괄취하 등과 함께 한나라당 鄭의원 처리문제 등에 대해 국민회의는 鄭의원의 검찰출두후 사과를 요구하고 있으며 한나라당도 鄭의원의 국회 본회의 사과용의를 밝힘에 따라 원만한 해결방안이 마련될 가능성이 적지않다. 특히 선거법협상은 5일 3당3역회의가 고비다. 그러나 회담형식과 관련, 한나라당측이 자민련 朴총재의 참석에 강한 거부감을 표시하고 있어 최대 걸림돌로 작용하고있다. 결국 김대중대통령과 이회창총재간 양자 회동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있다. 양정록기자JRYANG@SED.CO.KR

관련기사



양정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