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북 미사일 발사 초읽기] "협상 여지 남겨 북한 오판 막자" …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가동

■ 靑, 北에 전격 대화 제의<br>북 태도변화땐 지원 확대ㆍ경협 활성화 의도<br>일부선 "당국간 직접대화 제의 가능성" 열려<br>미사일 발사 징후 포착… 긴장은 계속 고조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가 여러 곳에서 포착된 가운데 우리 정부는 'D데이'가 언제일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미 양국은 정밀감시태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북한이 미사일발사차량(TEL)을 수시로 옮겨가며 기만전술을 펼쳐 대응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 미사일 발사 시점은=북한은 5일 평양 주재 일부 외교관들을 대상으로 10일께 미사일을 발사할 것이라고 경고했지만 실제 발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정부 소식통은 11일 "북한이 무수단미사일을 곧 발사할 것이라는 정황은 계속 포착되고 있다"며 "그러나 미사일을 격납고로 옮겼다가 전개하는 행동을 반복하고 있어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은 이날 오전에도 격납고에 있던 무수단 TEL 2대 중 1대를 발사대에 세웠다가 내리는 행동을 되풀이하며 한미 당국을 긴장시켰다.


전날 미국 CNN 보도 등으로 기정사실화됐던 무수단미사일에 대한 연료 주입도 아직 확실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군의 한 관계자는 "무수단미사일에 연료와 산화제를 주입하는 작업이 있었다면 연료 차량이 식별돼야 하는데 보이지 않고 있다"며 "아직 정확한 분석이 나오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 전문가들은 존 케리 미 국무부 장관이 방한하는 12일과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15일(태양절) 전후를 미사일 발사의 가장 유력한 날로 보고 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 기술진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북한 탄도미사일에 주입되는 적연질산은 주입 후 2주 이상 놓아둬도 된다"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15일 전후가 될 것 같지만 몇 발을 쏠지, 언제 쏠지 등은 계속 지켜봐야 할 일"이라고 밝혔다.

◇남측 탓하며 발사 명분 쌓기=북한은 미사일 발사 움직임을 보이는 동시에 이날 개성공단 운영 파행의 책임을 우리 측에 돌리며 '명분 쌓기'에도 나섰다.


북한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대변인은 이날 "남조선 괴뢰당국과 전쟁 광신자들은 저들이 저지른 반민족적 죄행에 대해 석고대죄하기는커녕 우리의 중대조치를 시비질하고 있다"며 "이는 도적이 매를 드는 격의 파렴치한 언동"이라고 비난했다.

관련기사



그는 또 "제반 사실은 올바른 선택을 해야 할 당사자는 바로 청와대 안방주인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남조선의 현 집권자는 개성공업지구를 폐쇄 직전에 이르게 한 책임에서 절대로 벗어날 수 없다"고 밝히며 박근혜 대통령을 직접 겨냥했다. 북한의 대남 선전용 웹사이트인 우리민족끼리 또한 이날 "개성공업지구 사업이 잠정 중지된 현 사태는 바로 남조선 괴뢰패당이 북남관계를 전시상태로까지 몰아넣고 우리의 존엄을 모독하였기 때문"이라며 책임을 떠넘겼다.

우리 정부는 계속해서 북한 달래기에 나서고 있지만 곤욕스러운 눈치가 역력하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이날 긴급 성명을 발표하며 "남북 간 화해협력의 상징인 개성공단 운영 중단 조치는 민족의 장래에 도움이 되지 않는 행동으로 북측의 책임 있는 조치가 있어야 한다"며 "북한 당국은 대화의 장으로 나오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성명에도 불구하고 북한에 대한 공식 대화 제안이나 별다른 조치를 내놓지 않아 북한의 행동에 끌려다닌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