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아르헨도 '한국형 원전' 도입 의사

멕시코와는 내달 인력교류 양해각서 체결

필리핀에 이어 아르헨티나도 한국형 원전 도입 의사를 타진했다. 18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정부는 최근 주 아르헨티나 한국대사관을 통해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과 함께 후보 노형의 하나로 한국형 원전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아르헨티나는 현재 2개의 원자력 발전소를 운영 중이고, 추가로 1개의 원전을 건설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캐나다의 중수로형 원전이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아르헨티나 정부가 우리 대사관을 통해 한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타진해 와 구체적 내용을 확인 중”이라며 “어떤 원자로형을 생각하는지, 시기가 언제인지 등은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또 다음달 멕시코 정부와 원전 인력교류 양해각서를 체결할 전망이다. 케셀 마르티네스 멕시코 에너지부 장관이 다음달 4일부터 이틀간 한국을 방문, 원자력 인력교류 문제를 포함한 양국간 에너지 현안을 논의한다. 한국형 원전은 지난해 아랍에미리트(UAE) 수주를 따낸 이후 위상이 높아져 세계 각국의 러브콜이 쏟아지고 있다. 프랑스를 제외하고는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해 운영한 경험을 보유한 국가로 사실상 한국이 유일하기 때문이다. 최근 아키노 필리핀 대통령은 “원자력 발전을 전력 공급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한국형 원전 건설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현재 공동연구를 진행중인 터키에 이어 필리핀과 아르헨티나까지 원전을 수출할 경우 우리나라의 수출 범위는 중동, 아시아, 남미로 확대된다. 하지만 러브콜을 실제 수출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자금조달, 전문인력 등 여러 국가에 동시에 수출하기 위한 내부 역량을 키우는 것이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