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경제 大計 기업이 이끈다] 코오롱

화학·소재·부품사업 내실 다져

코오롱은 물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다. 코오롱건설이 시공한 대전 하수종말처리장 전경. /사진제공=코오롱

코오롱은 첨단화학소재기업으로의 변신을 중장기 목표로 세웠다. 이를 위해 기존 ㈜코오롱의 사업부문을 분할해 신설된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코오롱의 자회사로 전략적인 합병과 분할을 통해 사업간 시너지를 증진시키고 전문화된 종합화학ㆍ소재ㆍ부품기업으로서 내실을 다져나가고 있다. 코오롱은 또 책임경영체제 아래 각 분야별 시장 점유율을 적극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신소재 사업을 확대해 미래 성장 동력을 강화하는 사업포트폴리오를 구성해나가고 있다. 지난해에는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 효과로 고부가 아이템들의 매출 비중이 확대되면서 매출 2조원을 돌파, 사상 최고 실적을 달성하기도 했다. 회사 한 관계자는 "앞으로도 기술제휴나 원천소재 도입이 아닌 독자적인 기술 개발로 디스플레이 분야는 물론 한국 부품소재 산업의 경쟁력을 견인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IT, 자동차 등 각종 산업의 필수 소재의 기술력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사업의 첨단화와 더불어 코오롱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은 것은 물산업이다. 코오롱의 물산업은 자회사들이 물 산업 관련 소재ㆍ시공ㆍ운영 등 수처리 통합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는 데에 차별성이 있다. 코오롱은 지난 2006년 국가산업단지 폐수처리장 7곳과 전국 43개 지역의 436개 하수 및 폐수처리장을 관리하는 국내 1위 민간수처리 운영업체인 환경시설관리공사를 인수하면서 물산업에 진출했다. 상하수도 산업과 관련해 ▦멤브레인(정수필터) ▦수처리약품 ▦수처리장 건설과 운영 등을 일괄적으로 진행하는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한 유일한 국내 회사다. 또한 물 관련 소재, 시스템, 시공, 운영과 같은 업무를 자회사들이 나눠 담당하고 있어 언제든 유기적인 결합이 가능하고 시장의 변화와 요구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을 구축해 놓고 있다. 특히 소재분야에서는 그 동안 축적된 멤브레인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대규모 상ㆍ하수도 처리에 적용할 수 있는 멤브레인 모듈 '클린필-S'개발에 성공했다. 이 기술은 국토해양부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해수담수화 플랜트 사업에 적용돼 오는 2012년부터 부산시민들에게 맑은 물을 공급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