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전형적낙하산" 금융권강력반발

우리금융지주 회장 박병원 前차관 사실상 확정<br>노조 "모든 수단 동원 저지할것" 총파업 예고<br>공직자윤리법 명확한 잣대 들이대면 위법 지적<br>우리은행장도 외부인사 기용땐 반발더거세질듯

우리금융지주 회장에 박병원 전 재정경제부 제1차관이 내정된 것에 대해 금융계는 “이변은 없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경영실적과는 관계없이 정부가 ‘암묵적(?)’으로 내정한 인사가 낙점받은 것을 ‘당연한 결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금융계는 이번 인사에 대해 “‘낙하산 인사’의 전형적인 사례”라며 “(경영실적과는 관계없이) 어떤 누구도 정부의 연줄이나 청와대의 코드가 맞지 않는 한 정부투자 금융기관장을 맡을 수 없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청와대나 정부가 “능력과 품격과 감안해 인사검증을 했다”는 견해를 결코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이다. 금융계는 이번 인선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특히 관련 은행 노조에서는 가능한 한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이를 저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우리은행 노조는 오는 26일 총파업을 예고해놓는 등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총동원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물론 이 같은 금융권의 생각에는 잘못이 있을 수 있다. 정부의 낙하산 인사나 코드 인사를 무작정 반대하는 입장에 집착한 나머지 이번에 내정된 박 전 차관의 능력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계의 옹졸한 선입견으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우리금융의 장기비전을 실천할 적임자로 박 전 차관을 선임했다”면서 “박 전 차관의 능력은 이미 그동안의 이력에서 검증됐고 일각에서 말하는 반대의견은 편견에 불과한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금융지주 회장에 대한 정부와 청와대의 인사검증 절차가 마무리됐지만 앞으로 공식 취임하기까지에는 걸림돌도 많다. 노조ㆍ참여연대 등의 반발 등 넘어야 할 산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박 전 차관이 공직자가 퇴직 이후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든 공직자윤리법을 통과한 것에 대해 ‘짜고 치는 고스톱’이나 다름없는 처사라며 금융계와 시민단체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 ‘특별한 사유가 있어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경우 예외로 한다’는 공직자윤리법의 예외조항은 사람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어 있으나마나 한 조항”이라며 “’퇴직 후 2년 동안 사기업체에 취업할 수 없다’는 규정을 명확한 잣대로 들이댈 경우 박 전 차관의 우리금융회장 취입은 분명한 위법”이라고 말했다. 차기 우리은행장에 누가 선임되느냐에 따라서도 상황이 바뀔 수 있다. 현재 청와대와 정부의 심사와 검증을 기다리고 있는 이종휘 우리은행 수석부행장, 최병길 금호생명 대표, 박해춘 LG카드 사장 가운데 만약 외부인사인 박 사장이 선임될 경우 우리은행 노조를 비롯한 내부 조직원들로부터의 강력한 반발은 물론 시민단체들로부터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은행장과 관련해 청와대가 내놓을 최종 결정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