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EU 이번엔 중국 통신장비업체 불공정행위 조사

태양광패널 반덤핑 관세 이어 압박<br>유럽 기업 "중국시장 놓칠라" 우려

유럽연합(EU)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심화하고 있다. EU가 오는 6월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최대 68%의 반덤핑 잠정관세를 매기기로 한 데 이어 통신장비 부문에서도 중국 업체의 불공정행위를 조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13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카렐 더휘흐트 통상담당 집행위원이 15일 EU집행위원회(EC)에서 중국 통신장비업체의 불공정행위 조사에 대한 협조를 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더휘흐트는 화웨이ㆍZTE 등 중국 통신장비 업체들이 국영은행으로부터 낮은 금리에 대출을 받는 등 정부 보조정책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뒤 불공정 경쟁을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불공정행위 조사가 결정되면 EC가 역내기업의 제소 없이 조사를 벌이는 첫 사례가 된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중국 최대 통신장비 업체인 화웨이의 티나 짜이 대변인은 "정부로부터 불법 보조금을 받지 않았다"면서 "6년 전 중국개발은행으로부터 받은 300억달러 대출은 국제법과 상업적 관행에 따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럽 통신장비 기업들은 중국시장 공략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해 EC의 조사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중국 최대 통신업체인 차이나모바일이 올해 차세대 통신망 구축에 70억달러, 차이나텔레콤ㆍ차이나유니콤 등 다른 이동통신 업체 역시 수십억달러의 투자를 준비하고 있어 올해 중국 통신장비시장은 100억달러 안팎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에릭슨ㆍ알카텔루슨트ㆍ노키아지멘스 등 유럽 통신장비 업체들은 중국시장 공략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울프 페르손 에릭슨 정부ㆍ산업관계 부문 대표는 "중국 정부가 EU의 일방적 조사에 맞서 유럽 개별회사를 대상으로 한 불공정조사에 벌일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다른 유럽 통신장비 업계 관계자도 "중국 정부가 이번 조사를 계기로 유럽 기업들과 계약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독일은 EC가 중국산 저가 태양광 패널에 '징벌적'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에 대해 반대하고 나섰다. 독일 정부 관계들은 EC가 중국과 대화에 나서 궁극적으로 원만한 해결책을 찾으라고 권고했다.


최인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