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경련] 유휴설비 대북이전 산업단지별로 추진

재계는 남북경협을 활성화하고 과잉설비를 감축하기 위해 북한의 산업단지별 특성에 맞게 포괄적으로 유휴설비를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또 반도체를 포함, 8개 업종의 빅딜(대규모 사업교환)을 상반기까지 마무리하되 빅딜 참여회사간 이견이 해소된 업종부터 차례로 통합법인을 설립, 출범시키기로 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8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월례회장단회의를 갖고 이같이 결정했다. 회장단은 이날 회의에서 유휴설비 북한 이전문제와 관련, 개별적인 대북(對北) 접촉보다는 북한지역의 산업단지별 특성에 맞게 포괄적으로 설비를 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 전경련은 오는 21일 개최하는 「남북경협위원회」에 임동원(林東源)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초청, 의견을 나누고 금융지원조건 등 경제계의 실무적인 입장을 정리하기로 했다. 전경련은 또 22일 개최되는 정·재계 간담회에서 종합상사 부채비율 200% 감축계획 완화 등의 수출지원 대책을 정부에 촉구하고 구조조정 후 산업경쟁력 강화방안을 모색하는 「국가경쟁력 강화 민관위원회」를 조속히 발족시키기로 했다. Y2K(컴퓨터 2000년 인식오류) 문제와 관련, 전경련은 재계 공동으로 자동화설비·협력업체 지원·수송물류·법령제도 개선 등 4개 분야의 대응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전기·통신·가스·상하수도 등 공공부문의 Y2K문제는 민관이 공동 대처키로 했다. 이와 함께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을 위해 각사별로 사내윤리강령에 이를 의무화하고 전경련 사무국 내에 불법복제품 사용 고발창구(02-3771-0332)를 마련, 고발사항에 대해 즉각 시정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수출증대와 관련, 전경련은 업계의 수출증대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태스크포스를 설치, 연중 운영하기로 했다. 또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처벌조항 삭제에 반대하며 임금삭감 없는 근로시간 단축은 있을 수 없다는 기존 입장도 재확인했다. 한편 회장단은 회의를 마친 뒤 박태영(朴泰榮) 산업자원부 장관을 초청, 전경련회관 내 경제인클럽에서 오찬간담회를 갖고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을 해줄 것을 재차 요청했다. /손동영 기자 SONO@SED.CO.KR

관련기사



손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