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모태범, '74년 노골드' 갈증 풀었다

빙속 첫 올림픽 금메달<br>스피드스케이팅 男 500m

SetSectionName(); 모태범, '74년 노골드' 갈증 풀었다 빙속 첫 올림픽 금메달스피드스케이팅 男 500m 강동효기자 kdhyo@sed.co.kr

이규혁도 이강석도 아닌 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의 막내가 62년 묵은 금메달 갈증을 풀었다. 모태범(21ㆍ한국체대)은 16일(한국시간) 캐나다 리치먼드 올림픽 오벌에서 열린 밴쿠버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에서 1, 2차 시기 합계 69초82를 기록해 우승을 차지했다. 지난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린 제5회 동계올림픽 이후 제6회 대회를 제외하면 매번 동계올림픽 무대를 두드린 스피드스케이팅에서 일궈낸 첫 금메달이자 쇼트트랙이 아닌 종목에서 일궈낸 첫 번째 동계올림픽 금메달이다. 일제강점기였던 1936년 김정연이 일장기를 달고 출전한 제4회 독일 칼밋슈올림픽을 포함하면 무려 74년의 해묵은 숙원을 풀어낸 셈이다. 이번 대회 2번째 금메달을 수확한 한국은 금메달 5개 이상을 따내 종합 10위 이내에 입성한다는 목표에 한발짝 다가섰다. 1,000m와 1,500m가 주력 종목인 모태범은 2009-2010 국제빙상경기연맹(ISU)월드컵 시리즈 500m 세계랭킹에서 14위에 머무르며 메달 후보로 조명을 전혀 받지 못했다. 관심의 초점이 세계랭킹 1, 2위인 이강석과 이규혁에게 맞춰진 덕에 부담 없이 경기에 임할 수 있었다. 그는 1차 시기에서 월드컵 랭킹 9위의 강호 얀 스미켄스(네덜란드)와 함께 경주를 펼치며 34초92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참가선수 가운데 미카 포탈라(핀란드ㆍ34초86)에게만 0.06초 뒤진 2위의 성적이었다. 모태범은 2차 시기에서 34초90의 성적으로 결승선을 통과해 중간 순위 1위로 올라섰다. 마지막 조의 미카 포탈라와 가토 조지는 2차 시기에서 성적이 다소 처지며 합계 70초04와 70초01에 머물렀다. 모태범은 현지 날짜(15일)로 자신의 생일인 이날 역전 우승의 주인공이 되며 함박 웃음을 지었다. 1992년 알베르빌올림픽 남자 1,000m에서 2위에 오른 김윤만이 최초로 메달을 따낸 후 빙상에서 처음으로 금메달을 따낸 감격의 순간이었다. 또 2006년 토리노올림픽의 이강석(동메달), 14일 남자 5,000m의 이승훈(은메달)에 이어 스피드스케이팅에서 따낸 통산 4번째 올림픽 메달이었다 대회가 열린 오벌 경기장에서 코스 레코드(34초80)를 가지고 있던 이강석은 합계 70초04를 기록해 아쉽게 4위에 그쳤고 12년의 외로운 싸움을 벌였던 '맏형' 이규혁은 15위에 머무르며 다시 고개를 떨궜다. 일본의 나가시마 게이치로, 가토 조지가 각각 합계 69초82, 69초98의 기록으로 은ㆍ동메달을 따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