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방사청 美 LRIP형 ‘무기체계 안정화제’ 도입

전투형 판정시 바로 전력화하는 방식 벗어나 시험 운영 강화

사진=K-11 복합소총, K-21 장갑차

SetSectionName(); 방사청 美 LRIP형 ‘무기체계 안정화제’ 도입 전투형 판정시 바로 전력화하는 방식 벗어나 시험 운영 강화 권대경기자 kwon@sed.co.kr 사진=K-11 복합소총, K-21 장갑차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방위사업청이 최근 K계열 무기 결함과 관련, 앞으로 무기 양산 전 단계에 이뤄지는 시험 평가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방사청 관계자는 이날 “무기체계의 양산ㆍ전력화 전에 최소 전술부대 단위로 소량생산 해 야전에서 운용성을 확인하는 ‘무기체계 안정화’ 제도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른바 새롭게 개발되는 무기체계의 시험 운영기간을 도입해 결함을 최소화 하겠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현재는 운용시험평가에서 전투형 적합 판정이 내려지면 바로 양산해 전력화를 하고 있다”고 설명한 뒤 “이 제도를 도입하면 체계 안정화 기간을 거치면서 운용상 드러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요구된 성능을 입증하는 양산 단계로 전환하게 된다”고 말했다. 방사청이 추진 중인 이 방안은 미국의 ‘LRIP(Low-Rate Initial Production)’제도와 유사한 획득 체계로 전날(6일) 노대래 방사청장이 기자들과의 자리에서 밝힌 것이기도 하다. 노 청장은 “장갑차나 탱크도 일단 소량 생산해 1개 부대에서 1년 정도 시험 운용해 성능을 입증한 뒤 대량 생산하면 상당 부분의 결함을 사전에 보완해 국방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미국은 비무기체계 획득시 사업 초기단계에서 성능 입증 단계 강화를 골자로 하는 이 제도를 활용해 국방비를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K-11 복합소총과 K-21 장갑차, K-9 자주포, K-2 전차(흑표), 유도탄고속함(검독수리-A) 등 5종의 국산 개발 무기가 운용시험평가를 거친 뒤 양산 또는 전력화 이후 단계에서 결함이 드러난 만큼 보완작업이 진행 중이라는 게 방사청과 방산업계의 설명이다. [ '백발백중' 실전같은 한국군 훈련 현장 ] 화보 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