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靑·DJ측 "사전조율, 있을 수 없는 일"

이해찬(李海瓚) 국무총리와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이 임동원(林東源), 신 건(辛 建) 두 전직 국정원장의 사법처리 문제를 사전조율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와 관련, 청와대와 DJ측은 28일 "있을 수 없는일"이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DJ측은 민감한 주제임을 감안한 듯 침묵을 지켰으나 '두 전직 국정원장의 도청문제에 유감을 표명하고 검찰이 불구속한다'는 방안을 둘러싼 사전조율은 가능하지도 않은 일이라며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DJ측은 국민의 정부 시절 조직적 도청은 없었다는 입장을 줄곧 밝혀온 만큼 두전직 원장의 사법처리 수위를 놓고 이해찬 총리와 협의했다는 시나리오는 있을 수없는 일이라는 반응을 나타냈다. DJ측 최경환(崔敬煥) 비서관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사전조율설'과 관련, "언급할 내용이 없다"며 입을 굳게 다물었다. 그러나 DJ측 핵심 인사는 "죽은 권력이 무슨 일을 할 수 있겠는가. 만약 사전조율이 있었다면 두 전직 원장이 구속이 가능했겠는가"라며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인뒤 "두 전직 원장을 믿는 김 전 대통령의 마음에는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 중동 5개국을 순방중인 이 총리의 입장은 즉각 확인되지 않았으나, 청와대는 "사전조율은 불가능한 일"이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두 전직 원장에 대한 검찰의 구속조치를 앞두고 이 총리가 지난 13일 동교동 자택을 방문해 김 전 대통령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양해를 구했다는 추측은 가능하나이를 사법처리수위에 대한 사전조율로 해석하는 것은 과장됐다는 반응을 내놓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 전대통령과 이 총리간에 오간 얘기의 정확한 내용은 알 수없다"고 전제한뒤 "당시 검찰로부터 간접적으로 흘러나온 분위기도 임, 신 두 전 원장이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면 불구속 수사할 수 있다는 뉘앙스이지 않았느냐"며 "그런 원론적 차원의 얘기를 전했는지 모르지만 이총리가 이 사안을 놓고 협상하기위해 김 전 대통령을 방문했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이 총리의 동교동 방문이 사법처리 조율을 위한 방문이라기보다는,두 전직 원장에 대한 검찰의 구속 방침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현 여권과 동교동간의갈등 악화를 막기 위한 '특사' 성격의 방문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당시 이 총리는 두 전직 국정원장의 구속이 불가피하다는 검찰의 논리를 김 전 대통령에게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