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車 노사갈등 증폭

社측, 불법파견 근로자 정규직화 거부<BR>노조 "총력투쟁 나설것"

현대車 노사갈등 증폭 社측, 불법파견 근로자 정규직화 거부노조 "총력투쟁 나설것" 현대자동차가 8,000여명에 달하는 불법파견 근로자의 정규직화를 요구하는 노조의 주장을 거부할 방침이어서 현대차 비정규직 문제가 사회쟁점화할 전망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노동부 울산사무소가 12일까지 사내 불법파견 개선을 위해 제출하라고 지시한 시정계획서에서 정규직화 대신 근로자 전환배치안을 고수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현대차는 이번 개선계획서에 ▦작업공정 개선 ▦노무관리 분리 등의 내용만 포함시키고 비정규직의 직접 고용계획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할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현대차 노조는 올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현대차 비정규직 문제는 현대차 노사간 갈등뿐만 아니라 연초부터 노사정간 최대 현안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노동계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올해 최대쟁점으로 삼고 있으며 정부도 비정규직의 불법파견을 최대한 줄이겠다는 입장인 반면 경총 등 재계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생산현장의 현실을 무시한 처사라며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의 한 관계자는 "한꺼번에 수천 명에 달하는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라는 것은 기업 경영형편상 도저히 받아들이기 힘든 요구"라며 "검찰고발과 수사, 재판에 이르는 과정을 거치더라도 '근로자 전환배치'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게 회사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따로 모으는 전환배치안도 노조의 양보 없이는 불가능해 앞으로 회사가 진퇴양난에 빠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현대차 노조는 회사측의 개선계획서 내용을 일단 지켜본 뒤 '불법파견 정규직화 쟁취'를 위한 본격 투쟁에 나설 계획이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노사합의에서 비정규직의 처우개선에 회사가 합의한데다 불법파견 판정을 받은 이상 이들의 정규직화를 위해 총력 투쟁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한편 노동부의 한 관계자는 "12일 접수되는 개선계획서 내용을 상세히 검토해보겠다"며 "현대차의 경우 노조의 동의 없이 근로자 공정재배치가 불가능한 상황이어서 계획서의 실현 가능성을 꼼꼼히 따져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노동부는 이에 앞서 현대차가 지난해 제출한 울산ㆍ아산ㆍ전주공장의 불법파견 개선계획서가 실효성이 없다고 보고 모두 형사고발 조치했다. 울산=곽경호 기자 kkh1108@sed.co.kr 입력시간 : 2005-01-11 19:3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