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간질환에 신음하는 50대

환자 비중 32%로 최다



젊은 시절 과음으로 간에 부담이 쌓이면 주로 50대부터 간경변ㆍ간염 등 알코올성 간질환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민건강보험의 2011년 알코올성 간질환 진료 통계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는 14만7,323명으로 인구 10만명당 299명꼴이었다. 성별로는 남성(12만7,467명, 10만명당 513명)이 여성(1만9,856명, 10만명당 81명)보다 6배에 달했다.

연령별로는 50대 환자가 남녀 모두 가장 많았다.


우선 남성의 경우 50대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 비중이 전체의 32.6%였고 이어 40대(24.5%), 60대(18.2%)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 환자 역시 50대에 28.4%가 집중됐다.

관련기사



알코올성 간질환을 지방간·간염·간경화 등으로 세분하면 남성 환자의 30.4%가 알코올성 지방간이었고 알코올성 간염과 간경화가 각각 25.1%, 15.0%를 차지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가 줄어드는 대신 보다 심각한 만성질환인 알코올성 간경화 등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최종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50대 중년 남성 환자가 많은 이유는 30~40대의 과도한 음주 영향이 50대에 나타나기 때문"이라며 "알코올성 지방간·간염·간경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금주와 절주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알코올성 지방간의 경우 술을 끊으면 4~6주 내 정상 상태로 돌아오지만 간염을 반복적으로 앓으면 간 경변으로 발전해 회복이 어려워진다. 알코올성 간염 역시 음주를 중단하거나 줄이면 생존율이 높아진다는 게 최 교수의 설명이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