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SK그룹 압수수색/주요그룹 반응]삼성ㆍLG등도 내사說

검찰이 SK는 물론 삼성ㆍLGㆍ현대차 등에 대해서도 본격적인 내사를 벌이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이들 기업들도 앞으로의 수사방향을 점치며 초긴장한 상태다. 이들 그룹들은 변칙증여 의혹(삼성)이나 후계 승계작업(현대차), 주주대표 소송(LG) 등은 SK와 사안이 다르다고 강조하면서도 향후 불똥이 튈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우선 삼성그룹의 경우 “이재용 상무에 대한 국세청의 증여세 부과에 대해서는 국세심판원에 이의를 신청, 선고공판을 앞두고 있는 상태”라며 “언론보도나 참여연대와 논쟁 등으로 어느 정도 검증을 벌였기 때문에 검찰의 내사대상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삼성은 이번 내사파문이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세금 없는 부의 대물림`에 대한 단죄 차원에서 나온 만큼 향후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LG그룹도 마찬가지. 참여연대는 지난 1월27일 LG그룹 총수 일가와 LG화학(현 LGCI)간 부당내부거래 혐의로 구본무 회장 등 LGCI의 전현직 이사 8명을 상대로 주주대표 소송을 서울지법 남부지원에 낸 상태다. LG의 한 관계자는 “이는 검찰 고발 건과는 달리 주주대표 소송으로 법원이 판단할 문제”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도 “정의선 부사장 문제는 변칙증여나 내부거래 혐의 등과 전혀 관련이 없다”면서 “초고속 승진 등 후계 승계작업이 문제가 된다면 이는 주주들이 판단할 문제이지 검찰의 내사사안이 아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들 그룹은 앞으로 재벌 손보기 대상에서 제외되기 힘들 것으로 보고 차기정부의 의중 파악에 나서는 등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최근 과징금 부과 및 검찰 고발 등을 당한 두산ㆍ한화그룹도 이번 사태가 검찰 수사를 불러오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는 상태다. 한화그룹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참여연대로부터 분식회계로 고발당한 것과 관련, 최근 재경담당 임원이 검찰에 출두해 해명했다”고 설명하면서도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해외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과 관련, 위법행위로 5억원의 과징금을 받은 두산도 좌불안석이다. <최형욱기자 choihuk@sed.co.kr>

관련기사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