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용정보원 "공공고용 서비스 직원 1만명 돼야 적정수준"

"선진국은 위기때 인프라 확충"

경기침체에 따른 고용위기에 적절히 대응하려면 현재 3,000명에 불과한 공공고용 서비스 직원 수를 1만명 수준으로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상현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15일 열린 '고용서비스 성과와 개선방안' 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문을 통해 "고용 서비스 선진국은 경기침체에 따른 고용위기에 대응하려고 공공고용 서비스 인프라를 대폭 강화하는 추세"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영국은 금융위기가 발생한 지난 2008년 6만6,000명이던 공공고용 서비스 직원을 지난해 7만8,000명으로 늘렸고 일본 7,000명, 독일 5,000명, 프랑스 1,800명, 네덜란드는 800명을 늘려 경기침체에 따른 고용위기에 대처했다. 그는 "각국의 경제활동인구ㆍ경제규모에 따른 공공고용 서비스 직원 수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는 1만명(현재 약 3,000명) 정도는 돼야 적정 수준의 공공고용 서비스 기능을 충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진희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고용지원센터의 적극적인 안내와 상담을 주문했다. 김 연구위원은 "지난해 9월에 전국 30인 이상 300인 미만의 중소업체 875곳을 조사한 결과 약 40%는 최근 2년간 고용지원센터의 채용알선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이 서비스를 경험한 기업의 93.4%는 고용지원센터의 채용알선 서비스를 다시 이용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고용지원센터의 적극적인 안내와 상담이 업체들의 이용을 활성화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