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생생 재테크] 좋은 펀드 고르려면

운용철학·성적 확인해 우수 자산운용사 선택<br>펀드규모 크고 매니저 자주 안바뀌어야 유리


종합지수가 2007년의 최고기록을 깨고 2,200포인트를 넘어섰다. 주가가 고공행진을 거듭하자 최근 주식형 펀드에 대해 문의하는 고객들도 늘어나고 있다. 대부분의 고객들의 질문은 "좋은 펀드 없어요?"로 시작된다. 60개가 넘는 자산운용회사에서 운용하는 펀드가 1만개 이상이고, 그 중에서 좋은 펀드를 선택하는 것은 비전문가에게는 너무나 어려운 결정일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좋은 주식형펀드란 무엇인가. 은행을 거래하는 고객 중 한 분의 투자성과에 대한 실례를 들어보자. A고객은 2007년 6월 적립식펀드 가입을 위해 은행을 방문해서 세 종류의 주식형펀드에 가입했다. k사의 펀드는 2011년 4월20일 현재 34%, s사의 펀드는 23%의 수익률을 달성했다. 그렇다면 k사의 펀드가 좋다고 할 수 있을까. 답은 그렇지 않다. k사는 성장형이고, s사는 배당형이기 때문에 서로 운용철학이 다르다. 그렇다면 동 기간 동안 28%를 기록한 m사의 펀드(성장형)와 k사의 펀드는 어떨까. 3년이 지난 결과로 볼 때 k사의 펀드성과가 우수했으므로 고객은 k사를 선택했어야 한다. 하지만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좋은 펀드를 선택하기란 너무나 어려운 얘기다. 좋은 펀드 선택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우선 자산운용회사를 선택해야 한다. 자금의 운용을 담당하는 회사가 자산운용회사이므로 최우선적으로 고려할 대상은 좋은 자산운용회사를 선택하는 것이다. 자산운용회사를 선택할 때는 ▦투자철학 ▦인력,조직 및 리스크관리 ▦신뢰도 ▦운용규모 ▦장기적 운용성과 등을 확인해야 한다. 이런 정보는 자산운용협회와 해당 자산운용회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 단계는 최초 설정일을 확인하는 일이다. 최초 설정일이 오래되었다고 해서 좋은 펀드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펀드운용에 대한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 펀드설정 후 펀드운용철학과 펀드매니저 현황 및 펀드성과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동 펀드의 성적 확인이 가능하다. 세번째는 가능하면 규모가 큰 펀드에 가입해야 한다. 수 많은 펀드 중에서 설정액이 500억원 이하인 펀드가 90%에 이른다. 펀드회사는 능력이 뛰어난 매니저를 대형펀드에 집중 배치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소규모펀드는 자연스레 관심권 밖에서 멀어질 수도 있다. 특히 50억 이하 자투리펀드는 펀드매니저의 능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대형펀드로 갈아타는 것이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펀드매니저 교체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일부 펀드는 매니저가 1년에 수 차례 교체되기도 한다. 그러다 보면 펀드 설정 시 확립한 펀드운용철학이 변경되기도 하고 종목의 잦은 교체로 펀드운용비용이 증가하여 펀드성과가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한 사람, 또는 한 팀이 운용하는 펀드를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