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보격차해소 '디지털 평등사회'로

정보화 전략회의 주요내용6일 김대중(金大中)대통령 주재로 열린 정보화전략회의는 급속한 정보화에 따른 정보화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이는 정보격차(DIGITAL DIVIDE)가 갈수록 벌어져 사회·경제적 격차로 확대되면서 새로운 사회문제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최근 정보화 바람과 함께 정보통신 관련 벤처기업 창업으로 돈방석에 앉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대다수 국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은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는 지적이다. 이에따라 정부는 앞으로 정보화의 방향을 핵심 인프라 확충 등 국가 정보화 사회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모든 국민의 정보화 접근기회를 확대해 정보화 혜택을 함께 누리는「디지털 평등사회」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위해 우선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늘리고, 정보접근 지역센터와 PC보급을 대대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주부 인터넷교육 대상자를 현재의 100만명에서 200만명으로 늘리고 농어민과 장애인, 노인, 장년층에 대한 정보화교육의 기회도 늘리기로 했다. 특히 내년에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컴퓨터교육을 필수 과목으로 시행함으로써 어릴 때부터 정보화 마인드를 심어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마련한 실천방안에서 모든 국민이 디지털경제의 혜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연말까지 전국 196개 읍지역에 초고속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초고속망 설치가 어려운 도서와 벽지의 우체국에 올 연말까지 인터넷플라자 100개소를 추가로 설치하고, 사회복지관과 장애인고용촉진공단 지방사무소, 지역도서관에도 정보접근 지역센터를 설치하기로 했다. PC보급을 위해 저소득층 학생 5만명에게 PC를 무상공급하고 5년간 인터넷을 무료로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농업인에 대한 PC보급 확대방안도 마련하는 동시에 PC기증에 대한 세제지원도 추진키로 했다. 또 장애인들을 위해 컴퓨터 기기 및 음성변환기술, 자동자막처리기술, 화면키보드 등 관련SW도 개발하기로 했다. 정부는 특히 주부 대상 인터넷교육 인원을 내년말까지 200만명으로 늘리고, 2002년까지 농업인 15만명과 2003년까지 어민후계자 2만명에 대해 각각 정보화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 노인과 정보활용 능력이 부족한 40~50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정보화교육도 실시할 방침이다. 근로자의 경우 중소기업 근로자의 훈련기회를 늘리고 실업자 직업훈련에서 정보화관련 직종의 훈련비중을 올해 22.5%에서 2002년까지 40%로 확대하기로 한 것도 주목된다. 아울러 전자상거래 도입에 따른 신·구 유통체제간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기존 재래시장의 재개발과 기존 유통업체 공동의 사이버몰 구축을 지원하고 신·구유통업체간의 전략적 제휴를 유도하기로 했다. 또 산업정보 대이터베이스를 올해 50개, 2002년 100개로 매년 늘리는 한편 전자상거래 표준화로 산업정보의 호환성을 높이기로 했다. 이와함게 올해안에 전국 1만개 학교에 컴퓨터실습실과 학내전산망을 구축하고, 33만명의 모든 교원들에게 PC를 보급키로 했다. 한편 인터넷사회의 중심언어인 영어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초·중등학교의 영어교육 내실화를 적극 추진하고 소년·소녀가장 등 저소득층 학생 50만명에게 무료인터넷교육도 실시한다. 또 대대급 이상 군부대에 8,075대의 PC를 설치, 6월부터 전역되는 2만명의 장병들을 시작으로 인터넷 정보검색사 자격시험을 시행해 연간 27만명의 검색사를 사회에 배출하기로 했다. 박민수기자MINSOO@SED.CO.KR 입력시간 2000/04/06 18:37

관련기사



박민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