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키코 피해기업들 생존투쟁 '가시밭길'

금융권 유동성 지원자금 상환 압박 시달려<br>정부 출구전략 시행땐 줄부도 가능성 높아<br>업계, 피해금액 탕감등 특단대책 마련 촉구


SetSectionName(); 키코 피해기업들 생존투쟁 '가시밭길' 금융권 유동성 지원자금 상환 압박 시달려정부 출구전략 시행땐 줄부도 가능성 높아업계, 피해금액 탕감등 특단대책 마련 촉구 이유미기자 yium@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금형업체인 티엘테크의 안용준 사장은 오는 10월이면 창립 10주년을 맞게 되지만 요즘 같아선 제대로 창사기념일을 맞을 수 있을지 걱정이 태산이다. 키코(KIKO)피해기업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 공동대표까지 맡고 있는 안 사장은 연초부터 금융권의 패스트트랙(유동성지원 프로그램)으로 지원받은 자금 상환을 앞두고 회사의 생존 자체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그는 "키코 피해기업들은 이제부터 치열한 생존투쟁을 벌여야 한다"고 우려했다. 우량 수출기업들을 경영난에 빠뜨린 키코 피해기업들이 새해들어 패스트트랙 자금의 원금상환 압박과 출구전략 가시화로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매출 호조로 경영 정상화의가닥을 잡고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은 갈수록 불어나는 부채더미에 짓눌려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업계에서는 이에 따라 기업체의 상황에 따라 원금상환시기를 조정하거나 피해금액을 탕감해주는 등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수도권에서 LCD 부품업체를 경영하는 한모 사장은 키코사태로 40억원의 손실을 입는 바람에 1년반동안 부채 규모가 100억원으로 늘어나 공장부지는 물론 집까지 은행에 담보로 묶여 있다. 한 사장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4월부터 예정된 패스트트랙 원금 상환이다. 그는"아직 세부적인 상환 조건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1년간 매월 3억원 가량의 원금을 상환해야 한다"며 "매출이 전성기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지금으로선 도저히 상환할 수 없는 규모이며, 더 이상 끌어올 담보조차 없다"고 토로했다. 키코 피해기업들에겐 '키코'라는 낙인이 찍혀 재기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인천 남동공단의 자동차부품업체인 C사는 지난 2008년 키코사태가 터지자 원청업체로부터 일방적인 해지 통보를 받은데 이어 해외 바이어들까지 거래를 축소하거나 관계를 끊어버리는 상황에 시달리고 있다. C사의 대표는 "지난해 정부 및 금융권을 통해 유동성 지원을 받은 자금과 사재를 일부 털어 어렵사리 기술개발을 진행했지만 관심을 가져주는 바이어가 없다"며 "키코의 상처를 씻어내고 다시 한번 시작하려고 해도 키코기업이라는 낙인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녀 영업활동에도 큰 지장을 받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올해부터 정부의 출구전략이 본격화되면 재무구조가 부실한 키코기업들이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불안감도 높아지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출구전략으로 정책자금 및 시중 은행권 대출 조건이 까다로워진다면 키코 피해기업들은 사실상 자금줄이 모두 끊기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키코 피해기업들이 지난해 정부 지원에 힘입어 간신히 버틸 수 있었지만 올해부터 줄부도 사태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일부 기업들은 키코 피해 구제를 요청하기 위해 사법권에 손을 뻗치며 지난해부터 소송을 진행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업체들이 법원에 제기했던 가처분 신청은 대부분 기각됐으며 1심 판결이 조만간 나올 예정이지만 기업체들의 승리를 예상하는 시각은 드물다. 의류업체인 L사의 한 관계자는 "주거래 은행이 소송을 취하하지 않을 경우 대출금을 당장 회수하고 담보물건을 경매에 넘기겠다는 압박을 지속하고 있다"며 "처음부터 '계란으로 바위치기'라는 것은 알았지만 소송을 진행하는 것 자체가 큰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전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