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저금리시대 끝나고 있다] <2> 임박한 금리인상

"늦어도 4분기중 0.25~0.5%P 올릴 것"<br>설비투자등 개선조짐 뚜렷 "인상 시간문제"<br>"자산가치 조정위험 따른 대비책 서둘러야"


[저금리시대 끝나고 있다] 임박한 금리인상 늦어도 4분기중 0.25~0.5%P 올릴듯설비투자등 개선조짐 뚜렷 "인상 시간문제" 김민열기자 mykim@sed.co.kr 외환위기 이후 7년여 이상 지속된 저금리 시대와의 이별을 준비할 날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박승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금리인상이 임박했음을 강력히 시사했다. 그는 “금통위는 경기회복이 본궤도에 진입한다는 확신이 들면 지체없이 통화정책 조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한 뒤 잠시 후 “하반기 경기 낙관이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더 나아가 그는 “최근 시중 실세금리의 흐름을 보면 저금리 시대는 끝났다는 생각이 든다”고까지 말했다. 금리인상은 시간문제일 뿐이라는 뉘앙스다. 하반기 경기회복과 관련해 박 총재는 이날 낙관적 전망을 쏟아냈다. 그는 “지난 6월 중 설비투자는 부진했으나 7월에는 항공기와 상용차 등 운수장비를 중심으로 설비투자가 상당히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한은이 자체 점검한 7월 말 비공식 자료를 이례적으로 제시했다. 백화점 매출액과 신용카드 사용액 등 소비지표는 물론 그동안 경기회복을 가로막았던 설비투자와 생산활동 등 주요 지표들이 한달 전보다 뚜렷한 개선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한은이 금리를 언제, 얼마나 올릴까. 상당수 전문가들은 이르면 오는 9월, 늦어도 4ㆍ4분기 중에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인상폭은 1~2차례로 예상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올 4ㆍ4분기 중 0.25%포인트 정도 인상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굿모닝신한증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미국이 지속적으로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한국도 0.50%포인트 정도 금리를 올려야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기종 산은경제연구소 채권애널리스트는 이날 ‘채권시장 동향과 전망’ 보고서에서 “6월 이래 2개월 연속 금리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금리의 상승추세 진입에 대한 시장의 공감대는 형성된 상황”이라며 “시간이 흐를수록 내수 회복세가 지표로 확인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금리의 하락세 전환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단 콜금리 인상시점에 대해서는 “종합적으로 보아 4ㆍ4분기나 내년 1ㆍ4분기로 판단된다”며 “시장 일부에서 우려하는 3ㆍ4분기 중 콜금리 인상 가능성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콜금리가 올라갈 경우 가계와 기업들의 이자부담이 직접적으로 늘 전망이다. 3월 말 현재 국내 가계대출 잔액은 453조1,110억원. 가계대출 평균금리(6월 말 현재)는 6.18%로 가계대출 금리가 1%포인트만 올라가도 연간 이자부담은 4조5,000억원 가량 불어난다. 특히 가계대출의 70% 이상이 시장금리연동대출이기 때문에 은행들이 기준賻??인상하지 않더라도 대출금리는 자동적으로 올라간다. 최공필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저금리가 끝났다는 것은 자산의 위험성이 그만큼 커졌다는 것을 뜻한다”며 “금리변동에 따른 포트폴리오 조정이 불가피한 이상 자산가치 조정위험에 따른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박 총재는 한미 금리역전에 따른 해외자금 유출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우려할 단계가 아니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박 총재는 “우리나라의 장기금리가 미국보다 현저히 높아서 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국채 10년물 금리(9일 현재 5.21%)가 미국의 10년물 금리(4.39%)보다 0.82%포인트나 높은 상태여서 환 헤지비용 등을 감안할 때 최소한 1.5%포인트 이상 벌어져야 국내자본이 미국으로 빠져나갈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문제는 금리역전이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데 있다. 미국이 연말까지 지속적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해 연말 기준금리가 4.25%가 될 것이라는 ‘공격적 금리인상’ 가능성이 지배적인 상황에서 원화환율이 약세로 전환한다면 외국계 자본의 대규모 이탈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박 총재는 “자금의 해외유출이 적절히 이뤄지는 것은 환율유지와 통화정책 운영을 위해 나쁘지 않다”며 “자금의 해외유출이 되면 안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자본유출 우려가 현실화될 때는 상응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덧붙였다. 입력시간 : 2005/08/11 17:3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