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기고 싶거든 선제골 넣어라"

월드컵 조별리그 32경기중 역전승은 3번 그쳐

‘이기려면 선제골을 넣어라.’ 이번 독일월드컵에서 한국은 2게임 모두 먼저 골을 내주고 역전승과 무승부를 이끌어 냈으나 대부분의 팀이 후반 뒤집기에 성공하지 못해 ‘선제 골’의 중요성이 새삼 부각되고 있다. 20일 오전(이하 한국시간)까지 팀 당 조별리그 2경기씩 총 32경기씩을 치른 결과 역전승은 단 3번. 한국이 토고전에서 0대1로 끌려가다 2대1 역전승을 거뒀고 호주(일본전 3대1)와 스페인(튀니지전 3대1)이 역전에 성공했다. 한국은 19일 프랑스전에서도 선제 골을 내준 뒤 후반 박지성이 천금 같은 동점골을 터뜨려 마치 이긴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켰으나 역전은 하지 못했다. 역전이 힘겨운 이유는 30℃를 웃도는 무더운 날씨에 유난히 미끄러운 잔디, 럭비공을 방불케 하는 공인구 팀가이스트에 대한 적응 미숙 등이 겹쳐져 경기력이 갈수록 떨어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결국 전반에 한 골이라도 앞선 다음 후반에 ‘지키는 축구’로 밀고 가는 것이 이번 월드컵 승리 공식으로 자리 잡혀가고 있다. 득점 시간이 후반에 집중된 아드보카트호도 스위스 전에서는 전반에 선취 골을 반드시 넣어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한편 이번 월드컵은 32경기를 치르는 동안 74골밖에 터지지 않은 전반적인 골 가뭄에다 후반에 뒤집는 스포츠 특유의 드라마틱한 흥미도 사라져 ‘재미없다’는 불평까지 쏟아지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