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올 농업소득 1.5% 증가 전망

과일·축산부문 호조로 쌀값하락 상쇄올해 농업소득은 과일부문이 호조세로 돌아서고 축산부문도 높은 가격세가 이어져 지난해보다 1.5%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9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농업전망 2002' 보고서를 발표하고 한우 값이 올해도 상승세를 유지하고 돼지고기도 수출수요 회복으로 값이 오르는데다 일부 과채류 가격이 회복될 전망이어서 쌀값 하락으로 인한 농업소득감소를 상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농가소득 올해 농가소득은 농업외소득이 2.2%, 농업소득이 1.5% 증가해 지난해에 비해 1.7% 증가한 2,216만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농가소득은 쌀값하락으로 쌀 소득이 감소했으나 축산부문 소득이 대폭 증가해 농업소득이 1.5% , 농업외소득이 3.3% 늘어나면서 전년 대비 2.5% 상승한 2,178만원 수준에 이른 것으로 추산된다. ◇쌀 올해 벼 재배면적은 지난해 보다 3만㏊(2.8%) 감소한 105만3,000ha 정도로 예측됐다. 따라서 단수(단위 면적당 생산량)를 평년치인 10a(약 300평)당 490∼500㎏로 가정할 경우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4∼7% 감소한 3,580만∼3,660만석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생산량은 신곡 수요량을 약 400만석 초과하는 수준이다. 중국의 WTO 가입으로 국제 쌀값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2005년부터 쌀을 관세화 한다고 가정하면 2012년 쌀 실질가격이 현재보다 30%이상 하락하고 재배면적은 75만㏊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우려된다. ◇축산 올해 한육우 사육두수는 133만두로 전년대비 7만두(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2003년 이후 4∼5년간 완만하게 사육두수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소 출하두수 감소로 산지 소값은 3∼4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쇠고기 수입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올해 쇠고기 자급률(소비량기준)은 38%로 지난해보다 5%포인트 낮아지고 오는 2012년에는 33%까지 하락할 전망이다. 고광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