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테마파크인 ‘로봇랜드’를 놓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동상이몽(同床異夢)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10개 지방자치단체의 로봇랜드 유치전이 과열로 치닫는데다 해당 지자체가 제출한 사업계획서가 당초 정부가 계획을 세워둔 선을 과도하게 넘어서면서 급기야 예비사업자 선정도 오는 10월로 연기됐다.
산업자원부는 21일 “지자체들이 제출한 사업계획의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며 예비사업자 선정을 위한 로봇랜드 추천위원회를 10월 중 열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 “지자체가 제출한 예비사업계획과 재원조달 규모가 매우 다양하고 상이해 확인과 평가에 당초 예상보다 많은 시간과 부담이 발생하고 있다”고 연기 이유를 설명했다.
하지만 이미 정부 내부에서는 로봇랜드를 둘러싼 지자체간의 과당 경쟁이 도를 넘어서고 있는데다 사업 규모도 지나치게 방대하게 계획하고 있어 부담을 갖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당초 이번달 예비사업자 선정을 앞두고서는 “과열을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는 내부 지적이 나올 정도였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각 지방마다 로봇랜드 유치로 자치단체장이나 해당 지역 출신 정치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것 같다”면서 “지자체들이 로봇랜드에 대규모의 민자ㆍ외자를 끌어들여 테마파크나 로봇 산업단지를 만들겠다고 밝히는 등 정부의 구상을 뛰어넘는 무리한 계획이 제출됐다”고 말했다. 때문에 사업 규모가 정부의 계획 규모보다 수십배 더 되는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지자체도 여럿 됐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산자부가 구상하는 로봇랜드는 로봇 전시관과 전용 경기장ㆍ체험관ㆍ유통판매시설 정도로 유치지역에 지원할 국비는 500억원선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러나 각 지자체들은 적게는 800억원, 많게는 1조3,000억원에 이르는 사업계획서를 내놓았다.
산자부의 한 관계자는 “지자체들의 무리한 계획은 로봇랜드를 포함한 로봇 관련 산업과 시설이 1개 지역에만 집중될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정부는 전국적으로 로봇산업의 분야별 특성과 연계한 지역간 협력체제를 도모할 방침”이라고 밝혀 로봇랜드 유치지역이 로봇과 관련된 모든 산업을 유치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한편 지난달 25일 마감된 로봇랜드 유치신청에서 강원ㆍ광주ㆍ경기ㆍ경남ㆍ경북ㆍ대구ㆍ대전ㆍ부산ㆍ인천ㆍ전남 등 10개 지자체가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