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日휴대폰업계 '나홀로 순항'

세계 휴대폰업계는 최근 합작 또는 M&A에 적극 나서는 등 '적과의 동침'을 시도하고 있다. 에릭슨과 소니, 모토롤러와 미쓰비시 전기의 예가 대표적이다.세계 휴대폰업계가 사활을 건 합종연횡에 나서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시장이 급랭하고 있기 때문. 실제 90년대 중반 들어 매년 60~70%의 성장률을 기록하던 세계 휴대폰(단말기)시장은 지난해 45.5%로 성장률이 다소 둔화된데 이어 올해는 10% 안팎까지 추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이 와중에서도 일본의 휴대폰업계는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나홀로 순항'을 지속하고 있다. ◇유럽업체, 잇단 제휴 구애=최근 세계 휴대폰업계의 합작 및 M&A는 '유럽+아시아'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에릭슨과 소니는 물론 모토롤러와 미쓰비시, 그리고 필립스와 LG간의 제휴 양상이 모두 그렇다. 그러나 무게는 아시아 업체쪽에 쏠려 있다는 게 시장 관계자들의 분석. 무엇보다도 아시아 업체, 특히 일본 업체들이 차세대(3G) 휴대폰 기술은 물론 휴대폰에 부가되는 각종 전자기술에 있어서도 한 수 앞선 기량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들어 휴대폰은 정보와 엔터테인먼트를 동시에 즐기는 일체형(all-in-one) 통신기기로 업 그레이드 되고 있다. 따라서 세계 휴대폰시장 점유율이 1%에도 못미치는 소니 같은 군소업체도 전자기술을 통해 매력적인 제휴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日, 4세대 휴대폰 개발 선도=세계 휴대폰업계는 3세대 휴대폰의 상용화가 이뤄지기도 전에 4세대 휴대폰 개발에 나서고 있다. 미국은 최근 전미과학재단 주재로 4세대 이동통신기술 개발에 관한 워크 샵을 개최했으며, 유럽도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을 중심으로 4세대 이동통신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은 4세대 휴대폰의 기본양식까지 마련하고 있는 등 한발 앞선 행보를 보이고 있다. 실제 일본 총무성은 현재 인터넷 접속 휴대폰으로 각광 받고 있는 'i-모드'보다 전송 속도가 1만 배나 빠르고 선명한 동화상을 단시간 내에 전송할 수 있는 4세대 휴대폰의 기본양식을 정리하는 작업을 추진중이다. 특히 일본은 오는 2010년께나 상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4세대 휴대폰 시대를 2005년으로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휴대폰관련 벤처기업도 해외 진출 러시=일본의 휴대폰업계가 상승세를 타면서 관련 벤처기업도 해외 진출에 적극 나서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다. 1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의 콘텐츠 개발 회사인 엔터프라이즈는 최근 한국과 타이완에서 인터넷 접속 휴대폰용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또 다이렉트 디지털은 한국과 타이완에서 착신 멜로디의 판매에 나섰으며, 인덱스는 한국에 합작사를 설립해 휴대폰용 게임 프로그램의 판매에 나설 계획이다. 이들 휴대폰관련 벤처기업들은 NTT도코모 등 대형 이동통신업체에 기술 및 부품을 제공하면서 축적한 기술이나 노하우를 바탕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한다는 점에서 1석2조의 효과를 누리고 있는 셈이다. 정구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