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오늘의 경제용어] 기업의 지배구조

기업지배구조는 기업 경영의 통제에 관한 시스템으로 기업경영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주주, 경영진, 근로자 등 이해 집단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규율하는 제도적 장치와 운영메커니즘을 말한다.세계 경제의 글로벌화에 대응한 안정적 국제투자관행의 확립과 기술혁신·자본자유화 등 기업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기업지배구조 확립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따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기업지배구조를 95년부터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 OECD는 올해 5월 각료이사회에서 기업지배구조원칙을 확정, 회원국에 정책권고하고 있다. 특히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IBRD)도 이 원칙을 회원국의 정책권고의 준거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앞으로는 사실상의 구속성을 가진 국제기준이 될 전망이다. 기업지배구조는 기업소유구조보다 광의의 개념으로, 기업의 소유구조뿐만 아니라 주주의 권리, 주주의 동등대우, 기업지배구조에서 이해관계자의 역할, 공시및 투명성, 이사회의 책임 등을 포괄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