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기협, 협동조합 경쟁력 강화책 마련에 '부심'

협동조합 살림의 근간인 단체수의계약제가 내년부터 폐지되면서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가 개별 조합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키 위해 부심하고 있다. 21일 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개별 협동조합이 벌인 공동사업에서 단체수의계약제도가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81.2%에 달한다. 공공기관이 협동조합과 수의계약을 통해 물품을 조달하는 단체수의계약제도 품목은 148개(2003년)에서 95개(2006년)로 급격히 줄었으며 내년에는 완전히 폐지된다. 단체수의계약제도 품목 축소에 따라 적자가 발생한 조합의 비율은 19.5%(2001년)에서 25.4%(2003년)으로 크게 늘었다. 중앙회 관계자는 "협동조합들의 단체수의계약제도 의존도가 높아 이 제도가 폐지되면 많은 조합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중앙회는 협동조합의 공동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내년부터 개별 조합에 공동기술 개발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또 협동조합 공공 A/S 센터를 설치, 공공기관에 납품한 제품 가운데 개별 중소기업이 처리하지 못하는 사항에 대해서 지원할 예정이다. 이 밖에 조합 자본금의 최대 10배까지 지원되는 공동사업자금의 금리도 인하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공공기술개발사업과 금리 인하 등은 예산 확보가 이루어져야 진행될 수 있다는 점과 상당수 협동조합이 공동사업을 추진할 능력이 없다는 점 때문에 중앙회의 협동조합 경쟁력 강화책이 어느 정도나 효과를 거둘 지는 미지수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지적하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들은 "단체수의계약제 폐지가 반년 앞으로 다가왔지만 대다수 협동조합이 새로운 공동사업 계획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