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북한·중국 등 2011년 231차례 사이버공격

WP, 스노든 폭로 자료 분석

미국 정보당국이 지난 2011년 한해에만도 북한ㆍ중국 등 '적성국'을 중심으로 모두 231차례의 사이버공격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전 미국 방산업체 직원인 에드워드 스노든이 폭로한 미국 첩보기관들의 2013회계연도 예산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드러났다고 전했다.


이에 따르면 국가안보국(NSA) 등 미국 첩보기관들은 2011년 총 231건의 사이버공격 작전을 벌였고 이 중 3분의2가량이 '우선순위 표적'을 대상으로 했다. WP는 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빌려 "우선순위 표적에는 이란ㆍ러시아ㆍ중국ㆍ북한 등 적성국이 포함됐다"고 보도했다.

이번에 드러난 미국의 사이버공격은 기존에 알려진 것에 비해 범위도 넓고 강도도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및 행정부는 지금껏 사이버공격의 존재 자체를 부인해왔으나 이번 자료로 미 정보당국이 인터넷을 첩보나 기물파괴, 나아가 전쟁의 주요 수단으로 삼아온 점이 드러났다고 WP는 지적했다.


악성 소프트웨어(SW)를 뿌리는 방식으로 세계 각국의 전산망을 몰래 통제하는 '지니(GENIE)'라는 작전의 실체도 이번 자료에서 드러났다. 개별 컴퓨터가 아닌 라우터ㆍ방화벽 등 전산장비를 노려 악성SW 하나로 여러 단말기를 한꺼번에 통제한다는 것이다. 이 작전에는 6억5,200만달러(7,23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고 이식된 악성SW는 올해 말 기준 8만5,000여개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2008년 당시의 2만1,252개보다 네 배나 많은 수준이다.

관련기사



NSA는 '지니'의 후속조치로 '터빈(TURBINE)'이라는 해킹 시스템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백만개의 악성SW를 자동 조종해 타국의 정보를 빼돌리는 동시에 전산망 파괴 등 적극적 공격도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한편 미 정보당국은 '사이버 작전이 가장 어려운 국가'로 북한ㆍ중국ㆍ러시아ㆍ이란을 꼽았다. 아프가니스탄ㆍ파키스탄ㆍ예멘ㆍ이라크ㆍ소말리아 등은 테러범 색출을 위한 중점표적의 대상이 됐다.

유병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